기린의 고혈압을 버티는 게 뭔 지 알려주세요
기린이 목이 길어서 혈액이 순환하기 위해선 높은 혈압이 필요하잖아요. 그래서 어떤 층이 있길래 고압에 약한 뇌혈관이나 모세혈관들이 고혈압을 버티는 건지 궁금해서찾는ㄷ 어떤 사람은 망상동맥이라 하고ㅡ 또 어떤 사람은 원더네트 그리고 또 다른 사람은 소동정맥그물이라 하는데 도대체 머가 맞는건가요 ㅠㅠ
안녕하세요.
네 말씀해주신 것과 같이 기린은 목이 길기 때문에 심장에서 머리 끝까지 혈액을 보내려면 사람보다 훨씬 높은 혈압, 즉 수축기 혈압이 약 250~300mmHg을 유지해야 하는데요 그런데 보통 이렇게 높은 혈압이면 사람의 경우 뇌혈관이 쉽게 터질 위험이 있는데, 기린은 이를 막기 위해 몇 가지 특수한 해부학적, 생리학적 적응을 갖고 있습니다. 첫번째는 경동맥망(carotid rete mirabile, 망상동맥망)인데요, 뇌에 들어가기 직전 경동맥이 여러 가느다란 혈관으로 갈라져 그물망을 형성하는데 이 구조는 혈압을 분산시키고, 뇌로 들어가는 혈류를 완충시켜 뇌혈관이 직접 고혈압에 노출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동시에 주변의 정맥혈과 열 교환 및 압력 교환을 하면서 안정된 압력으로 조절됩니다. 따라서 질문하신 망상동맥과 원더네트(rete mirabile)는 사실 같은 구조를 지칭하는 말입니다. 다음으로 기린의 뇌 모세혈관과 소동정맥은 벽이 매우 두껍고 탄력이 좋아서 고압에도 견딜 수 있는데요 혈관 평활근과 탄력섬유가 발달해 있어, 순간적인 혈압 변동에도 잘 버틸 수 있습니다. 특히 모세혈관 주위의 기질이 단단해 혈관 누출을 막아줍니다. 마지막으로 머리 쪽은 심장보다 훨씬 아래 있어 혈압이 더 강하게 걸리는데, 다리 정맥에는 튼튼한 판막과 두꺼운 벽이 있어 혈액이 역류하거나 혈관이 터지지 않도록 하며 다리 피부도 일종의 자연적인 압박스타킹처럼 두껍고 단단하게 발달해 혈액이 과도하게 몰리지 않게 막아줍니다. 감사합니다.
기린이 높은 혈압을 견디는 주된 구조는 뇌로 가는 혈류를 조절하는 '원더네트(Rete mirabile)'라는 미세혈관망입니다. 이 원더네트는 망상동맥이나 소동정맥그물 등으로 불리기도 하며, 정확히는 뇌 기저부에 위치하여 급격한 혈압 변화로부터 뇌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기린이 물을 마시려 머리를 숙이거나 다시 들어 올릴 때, 원더네트는 혈류 속도를 늦추고 혈압을 분산시켜 뇌출혈을 방지합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기린의 뇌는 높은 혈압을 견딜 수 있는 '원더네트'라는 혈관 구조 덕분에 보호되는 것입니다.
기린의 목은 최대 6미터에 달해 심장이 높은 혈압으로 혈액을 뇌까지 올려보내야 합니다. 하지만 고개를 숙일 때는 중력 때문에 뇌로 향하는 혈압이 급격히 높아져 뇌혈관이 손상될 위험이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막기 위해 기린의 뇌 기저부에는 원더네트라는 복잡한 모세혈관 다발이 있습니다.
그래서 원더네트는 압력을 조절하고 뇌를 보호하는 역할을합니다.
그리고 말씀해주신 용어들은 따로 정리가 필요해 보입니다.
원더네트(Rete Mirabile)는 직역하면 '경이로운 그물'이라는 뜻의 라틴어로, 기린뿐만 아니라 다른 동물에서 발견되는 복잡한 혈관 구조인데, 기린의 뇌 보호와 관련해서는 이 용어가 맞습니다.
망상동맥(Arterial rete mirabile)은 원더네트의 한 종류로, 동맥만으로 구성된 그물을 의미합니다. 망상동맥은 원더네트의 한 부분이며, 그렇다고 해서 모든 원더네트가 망상동맥은 아닙니다. 따라서 기린의 뇌 보호 기작을 설명하는 더 정확하고 포괄적인 용어는 원더네트가 맞는 것이죠.
소동정맥그물은 동맥과 정맥이 모두 얽혀 있는 구조로 그 기능을 포괄하는 단어는 아닙니다. 기린의 경우 뇌로 들어가는 동맥에 이 구조가 있기 때문에 '소동정맥그물'로 부른다고 해서 틀렸다고 할 수는 없지만, 원더네트라는 기능까지 포함하는 용어가 가장 많이 사용되며, 또 이 현상을 포괄적으로 설명하는 데 더 적합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