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까칠한사랑새8
까칠한사랑새8
23.12.25

아이의 말투 지적하면 안 되나요?

6살 아이가 곧잘 짜증을 내곤 합니다. 요즘 짜증이 많이 늘었어요. 뭔가 알려주면 알겠다고 수긍하지 않고 그게 왜 그러냐, 그게 아니라 ~이런식으로 짜증 내는 말투로 대답을 합니다. 자꾸 듣다보니 저도 듣기 싫고 짜증이 나서 짜증 내는 말투로 얘기하지 말라고 자꾸 지적하게 되는데요. 괜찮은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12.26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자신의 욕구가 좌절될 것 같은 상황에서 느끼는 부정적인 감정을 조절하는 능력이 미숙하기 때문에

    짜증을 내고 화를 냅니다.

    화를 내는 상황에서는 아이가 진정될 때까지 기다려 주시고 진정되면 칭찬하고 따뜻하게 안아 주세요.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말투를 지적하는 것은 부모의 역할로서 중요한 부분이지만, 접근 방식이 필요합니다. 6살 아이는 감정 조절이 아직 미숙할 수 있으며, 짜증이 많아지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이럴 때 부모가 짜증내는 말투를 지적할 때는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합니다.

    우선, 아이에게 왜 그런 말투가 문제가 되는지 설명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게 말하면 기분이 나빠질 수 있어"라는 식으로 감정적인 측면을 이해하도록 도와주세요. 단순히 "그렇게 말하지 마"라고 하는 것보다는 구체적으로 어떤 대안이 있는지를 함께 제시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좀 더 부드럽게 말해볼래?"와 같이 대안을 주면 아이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짜증을 내는 것은 자연스러운 감정이므로, 아이가 짜증을 내는 이유를 파악하고 그 감정을 인정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네가 지금 화가 나는 것 같아, 왜 그런지 이야기해줄래?"라고 물어보면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지적할 때는 긍정적인 피드백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아이가 부드럽게 말할 때 칭찬해주면 긍정적인 언어 습관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처럼 감정을 이해하고 소통의 기회를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한데, 이렇게 함으로써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잘 표현하고 조절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표현함에 있어 짜증을 많이 내는 경우 주변상황을 되돌아 볼

    필요가 있습니다. 아이들은 부모나 주변사람, 영상매체 등을 통해 행동양식을

    답습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언어사용이나 언어노출에 있어 모범이 되는 방향으로

    보여주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짜증을 내면서 대답을 한다면 그 즉시 단호하게 짜증을 내면서 대답을 하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세요.

    그리고 왜 짜증을 내면서 대답을 하면 안되는지 그 이유를 정확하게 설명을 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아이의 행동의 변화가 있을 때 까지 자주 반복적으로 설명을 해주시면서 아이의 행동을 지도하여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주지적하면아이가말하는것에대해 자신감을잃을수있답니다

    지적은하되수정하는말도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짜증내면서 말한다면 직접적으로 교정하고 알려줄필요가 있습니다

    감정표현에 있어서 적절하고 순화하거나 하도록 알려줄 필요가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말투가 다른 사람들에게 좋지 않게

    보인다면 당연히 지적을 해주고 개선을 해주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어느 때 짜증을 내는지 원인을 파악해야할 것 같아요

    평소에 아이의 말에 귀를 기울여 주시고 의견을 존중해주세요

    아이가 짜증을 낸다고 지적하고 다그치기 보다는 아이의 마음에 공감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