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이 변하면 수출과 수입은 어떻게 달라질까?
• 환율이 오르면 해외여행이나 해외 직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해서.
• 우리나라 기업들이 환율 변화에 따라 얼마나 큰 영향을 받는지 알고 싶어서.
• 환율이 높아지면 외국 제품 가격이 오르는 이유가 궁금해서.
• 원화 가치가 떨어지면 내 자산의 실질 가치가 줄어드는지 알고 싶어서.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원화 가치가 떨어지면, 내 자산의 실질 가치가 줄어드는 것은 맞습니다
원화 가치가 하락하면, 국내에서의 물가가 오르는 경향이 있고 이는 외국에서 수입되는 원자재나 제품의 가격 상승으로 인해 물가가 전반적으로 상승하고, 내 자산으로 구입할 수 있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양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원화가 약해지면 해외여행을 가거나 외국 제품을 구매할 때 더 많은 돈을 지불해야 하므로, 실제로 내 자산이 예전만큼의 가치를 가지지 않게 됩니다.
이와 같이 환율 변화는 개인과 기업 모두에게 다양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환율이 오르면 해외여행이나 해외물품을 구매할 때 더 많은 원화를 지불해야하니 손해가 될 수 있습니다. 기업들의 입장에서는 해외에 수출할 때 물건이 저렴해지는 효과가 있어서 유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원자재를 수입하는 입장에서는 불리하게 작용하므로 반드시 유리한 것만은 아닙니다. 환율이 높아지면 비싼 값에 수입을 해와야 하므로 당연히 물건 값도 오를 수 있습니다.
부동산의 경우 일반적으로 환율이 상승하면 달러 공급이 감소(외국인이 자산을 처분하여 달러를 확보) 하여 유동성이 감소함에따라 주가가 하락하고 금리는 상승하니 경기가 하락하고 부동산 수요감소를 이끌어 부동산 가격하락을 만드는 절차로 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환 공인중개사입니다.
환율 상승은 원화 가치 하락으로 볼 수 있으며 환율이 상승하게 되면 수출은 증가하게 되고, 수입읍 감소하게 됩니다. 해외에서 볼 때 같은 가격으로 더 많은 한국 제품을 구매가 가능 합니다. 이에 가격 경쟁력이 높아져 해외 시장에서 한국 제품이 더 많이 팔리게 됩니다. 그에 반해 달러로 해외 제품을 결제해야 하는 수입의 경우 수입품 가격이 비싸지게 되어 수입이 감소하게 됩니다. 원유, 원자재, 농산물 등의 수입 비용이 증가하게 되면 제조업, 소비재 가격이 동반 상승하게 되고 결국은 물가 상승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반면에 환율이 하락하게 되면 수출은 감소하고, 수입은 증가하게 된겠죠.
환율 변동에 따라 삼성전자, 현대차,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자동차, 조선업체 같은 수출 기업에는 유리할 수 있으나 여행업, 항공업 등은의 시장은 소비자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환율은 무역과 나라 경제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기 되는데...
환율 상승 = 원화 가치 하락 > 수출 증가와 수입 감소(물가 상승 위험 있음)
환율 하락 = 원화 가치 상승 > 수출 감소와 수입 증가(소비자 부담 완화)
라고 정리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화폐 가치가 하락하면 자국의 상품이나 서비스는 외국에서 더 저렴하게 느껴지고 이는 수출을 촉진합니다. 한국의 원화가치가 하락하면 한국 제품을 외국에서 더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게 되어 수출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화폐 가치가 상승하면 자국의 상품이나 서비스는 외국에서 더 비싸게 느껴지므로 수출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환율이 인상된다면 긍정적인 요인을 미치는 업종과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업종이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원재료를 수입하여 가공하여 수출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모든 물가상승의 원인이 될 수도 있어 내수 경기 전체적으로 매우 어려운 상황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환율이 오르면 해외여행이나 해외 직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해서.
-> 환율이 오르면 원화가치는 하락하는 것이기에 해외여행이 해외직구시 동일상품에 대해서 구입 및 지출 금액은 더 높아지게 됩니다.
우리나라 기업들이 환율 변화에 따라 얼마나 큰 영향을 받는지 알고 싶어서.
-> 원자재를 수입하는 기업의 경우에는 수입원가가 상승하기 때문에 제품원가가 상승하게 되고 동일판매자가격을 유지한다면 수익성은 악화될수 있습니다. 그리고 제품을 수출하는 기업의 경우는 해외에서 볼때 원화가치 하락으로 제품가격이 낮아지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가격경쟁력이 높아질수 있습니다.
환율이 높아지면 외국 제품 가격이 오르는 이유가 궁금해서.
-> 화폐 교환에 있어 환 차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즉, 상품 가격은 동일한데, 이를 원화로 교환하는 경우 더 높은 금액을 지불하여야 하기 떄문입니다.
원화 가치가 떨어지면 내 자산의 실질 가치가 줄어드는지 알고 싶어서.
-> 자산에 따라 달라질듯 보입니다. 보통 원화가치가 떨어지는 만큼 자산별로 가격 상승이 일어날수 있고 특히 부동산의 경우 물가상승 만큼 지가가 상승하기에 실질 가치는 동일하게 유지가 됩니다. 이와 다르게 보유하고 있는 현금자산등은 원화가치 하락에 따라 실질 가치는 하락할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