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퍼이팅
퍼이팅23.08.21

딸아이가 초등학교2학년인데요 그제부터 39~40도열이나요..

나이
9
성별
여성

오늘 병원갔는데 목이 아주조금 부어있고 중이염없고하는데 고열이 계속나요.. ㅠ 해열제 먹여도 열이 잘 안떨어지고 보통 해얄제 먹이면 땀이 쭉나면서 열이 떨어지잖아요..ㅠ 근데 열이 계속안잡혀요... 얼마전에 일주일전? 아데노 바이러스로 고열 이틀정도 났다가 잡혔는데 이번에는 좀 오래가는것같아요.. 토요일날 수영장을 갔는데 오전에 추운데 물에 들어갔다고하더라구요.. 아내랑 갔는데...에혀... 그이후에 열이나서 타이래놀먹이고 계속있었다는데..하...답답하네요..

이게 단순 감기일까요? 오늘 병원의사는 요즘 감기가 쌔다며.. 항생제 냉장하는거 처방해줬는데.. 이거 바이러스일 가능성은 없을까요??

혹시 보카바이러스? 이거는 애가 걸린적이없건것같은데 이거일 가능성이있을까요?? 찾아보니까 30개월 이래로 걸린다는데 저바이러스는....

혹시 저 바이러스이면 지금 먹이는 냉장용 항생제로 잡힐까요?? 아..열이 계속 39~40도 사이에서 안떨어지니까 불안해요... 애가 열성 경련도 있거든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우선 바이러스성 감염으로 인한 발열의 가능성도 완전배제를 할 수는 없으며 이는 호흡기바이러스 PCR검사를 시행하여야 확인이 가능하겠습니다.

    바이러스 감염이라 하더라도 특별히 항생제로 고치는 것은 아니며 증상에 따라 대증치료를 하면서 보기 때문에 우선 해열제로 열을 조절하시면서 경과관찰을 해보시고 열이 조절되지 않는다면 입원하여 수액치료를 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세균성이라면 우선 처방받으신 항생제로 치료를 하는 것이 맞습니다. 경우에 따라 항생제 내성균에 의한 감염이라면 항생제효과가 듣지 않을 것이고 다른 항생제로의 변경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라면 항생제는 듣지 않으며, 항생제와 같은 치료약은 없습니다. (항바이러스제가 있으나 바이러스성 상기도감염에 일반적으로 항바이러스제를 쓰지는 않습니다. ) 체대의 면역이 바이러스를 이겨내는 기간동안 보존적인 요법을 유지하게 됩니다.

    고열이 지속된다면 열을 낮추고 탈수등의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입원 및 수액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해열진통제를 적절히 투약하면서 아이의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하시면서 필요하다면 추가적 진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열성경련을 겪은 적 있어서 더욱 걱정스러우시군요. 아이가 독감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이 아니라면 어떤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증상이 나타나건 치료가 달라지지 않기에, 바이러스를 특정하는 것이 중요한 일은 아닙니다. 열을 떨어뜨리려 노력하는게 중요하고 해열제 교차복용 하고계실테니 미온수로 몸 닦기, 열패치 등을 활용해 열이 40도까지 올라가지 않도록 잘 관리해보시기 바라며 너무 열이 내려가지 않으면 응급실이라도 방문하셔서 수액을 맞으면 도움이 됩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요즘 열감기가 아주 심한 듯 합니다. 대부분은 바이러스 감염이라서 해열제를 먹으면서 버티면 좋아지기는 합니다. 항생제의 경우 혹시 모를 세균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 주신 겁니다.


  • 안녕하세요. 염진희 의사입니다.

    질문자분 말씀대로 다른 상기도 감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해열제 교차복용을 잘 시켜 주시고, 고열이 지속된다면 병원 재방문해보시는 것을 권유 드립니다.


  • 감기는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서 생기는 질환입니다. 감기를 유발할 수 있는 바이러스는 수백가지가 있으며 딱히 이렇다 할 치료제가 있지 않고 스스로 면역력으로 좋아지기 때문에 일일이 그 원인을 파악할 필요 또한 없습니다. 해당 내용을 통해서 보카 바이러스인지 아닌지를 알 수 없으며, 감염이 되었더라도 마찬가지로 치료제가 있지 않으며 스스로 극복하여야 합니다. 항생제는 세균을 죽이는 약물로 바이러스를 치료하는 효과는 없습니다. 발열에 대해서는 해열제 교차 복용을 통해서 최대한 조절하는 수밖에 없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