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용감한황여새107
용감한황여새10722.05.02

손가락 봉합 실밥제거 후 상태 봐주세요!

4/10 새벽에 참치캔에 깊게 베이고 지혈이 안되서 급하게 집 근처 대학병원 응급실 가서 봉합 했구요,

동네 정형외과에 이틀마다 가서 소독하고 4/26일에 실밥 풀었습니다.

그런데 이틀 뒤 봉합했던 부위에 살이 다시 벌어지면서 진물?이 나와서 급하게 다시 동네 정형외과 찾았는데

이런 경우는 드물다고 하면서 진물이 계속 나오는 것 같고 잘하면 다시 재봉합 해야 될 수도 있다고 하면서

종합병원으로 가보라해서 4/30일 종합병원에 다녀왔는데

담당 의사선생님 말씀으로는 안꼬매도 된다고하셨고, 손가락은 워낙 예민한 부위라 통증이 오래갈거라고 하셨어요.

일상생활은 물론, 비누로 씻어도 된다고 하셨구

진물이 더이상 나지 않는다면 소독은 필요 없으나 걱정된다면 베타딘(포비돈)을 일주일 정도 바르라고 해서

하루에 두번 정도 포비돈으로 소독하고있습니다.

현재 상태는 진물은 더이상 나오지 않고, 손가락을 누르면 통증이 조금 있어서 탄력붕대로만 상처부위에 감싸고

2~3시간 마다 풀러서 습하지 않게 관리해주고 있습니다.

보통 봉합 후 길게는 한달 안에는 상처도 다 아문다는 글들을 많이 봤는데

제 상처 같은 경우는 거의 한달이 다되가는데도 나아지지 않는 것 같아 걱정이 됩니다..

첨부한 사진은 현재 손가락 상태이구 조금 염려되고 걱정되서 여기 전문의 분들께 여쭤봅니다,,!

eyes-icon
개인 정보가 담긴 콘텐츠일 수 있어요.
질문의 내용을 확인하고
[사진 보기]를 눌러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사진의 소견으로 볼 때 열상 부위는 어느 정도 회복된 상태인 것으로 보이며, 사진의 소견만으로는 특별히 감염을 의심할만한 요인은 없습니다. 손가락 부위에는 신경이 많이 분포하여 예민하기 때문에 통증이 오래 지속될 수 있는 것이 맞으며, 열상으로 인한 흉터가 남는 것은 어떻게 할 수 없는 일입니다. 현재로서는 계속 잘 관리를 해주시면서 지켜보시는 것이 최선이겠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5.04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더이상 진물이 나지않고 사진과 같은 상태라면 호전되고 있는 중입니다. 손가락은 각질이 두꺼운 부위라서 안쪽 살은 다 붙어도 겉으로는 저렇게 벌어진 듯이 보일 수도 있습니다. 조금만 더 기다리면 자연스럽게 각질이 떨어져 나갈 가능성이 큽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현재 사진상으로는 소독약으로 인해 상처가 정확히 보이지 않지만 발적, 부종, 진물등의 소견은 보이지 않아 보입니다. 해당 병원 외래를 다니시면서 꾸준히 관리 및 관찰을 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정상적인 치유과정 중으로 보입니다. 경과관찰하시면 되겠습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상처는 이미 붙은 상태입니다. 벌어지지 않으면 괜찮은 것이고 진물이 나면서 점점 회복은 될 겁니다. 손가락에 자극을 주지 말고 소독만 잘 해보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이미 다 아문 상처로 보입니다.

    가장 밖에는 각질로 되어있기 떄문에 질문하신것처럼 보이는데

    자연스럽게 떨어지면서 좋아질겁니다.

    더이상 추가 소독은 필요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노용성 의사입니다.

    포비돈 때문에 상처가 잘 보이지 않으나

    흉터만 남고 상처는 거의 아문것으로 보입니다.

    겉층이 벌어질 수 있으니 지금처럼 관리하시되, 2~3시간마다 풀필요는 없어보이구요

    진물이 안나온다면 하루에 한번정도 데일밴드 갈아주세요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상처는 잘 아물어가고 있는것 같습니다. 보통은 2주만에 봉합사를 제거해야하는 부위인건 맞습니다.

    간혹 회복이 더딘 경우도 있으니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혹시나 당뇨같이 다른 원인이 있어서 회복이 더딘건 아닌지 알아보시는것도 도움이 되겠습니다.

    상처는 습한 환경에서 잘 회복하기 때문에 굳이 건조시키실 필요 없고 균이 들어가지 않게 잘 밀봉해주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