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헤라아레스
헤라아레스

환율.환전에 대해 궁금한 점 질문드려요

환율.환전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현재 환율 1385원인데 삼성증권 정규 환전 기준 1달러당 1397원입니다

이렇게 차이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은행은 환전 시 환율에 가산스프레드를 적용합니다. 또한 은행마다 외화의 보유비용, 운송비용, 마진 등을 각각 별도로 정해서 관리하기 때문에 다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준 환율과 삼성증권 환전 기준 환율이 차이나는 이유는 기준 환율이 시장의 평균 환율인 반면, 증권사 환전 환율은 수수료와 환전 마진을 포함해 실제 거래에 적용되는 비용을 반영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환전 시 수수료와 마진이 더해져 삼성증권의 환전 기준 환율이 기준 환율보다 높게 책정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전을 해주는 금융사 입장에서는 이로 인해 수익을 내기 위함도 있습니다.

    실제 환율과 동일하게 환전처리를 해주면 사실 이윤이 없는 것은 물론

    환전을 해줌으로 발생하는 비용만 발생하게 되는데요.

    이에 이러한 비용을 보전하고, 추가적으로 어느정도의 이윤을 얻기 위해서 그렇게 산정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환율, 환전에 대한 내용입니다.

    환율에는 기준 환율이 있고 살때, 팔때의 환율이 있으면 전신환율도 있습니다.

    기준 환율은 말 그대로 기준이 되는 환율이며

    이를 기준으로 수수료가 더하여져서 환전이 되기에 가격이 다른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뉴스에서 보는 환율은 은행이나 증권사 창구에서 바로 적용되는 금액이 아닙니다. 그건 기준환율이라고 해서 말 그대로 기준이 되는 숫자일 뿐입니다. 실제 환전할 때는 거기에 수수료가 붙습니다. 은행이나 증권사는 이익을 남겨야 하니까 매매기준율에 환전 마진을 더해 고객에게 제시합니다. 그래서 화면에 보이는 환율보다 실제 적용 환율이 높아집니다. 또 시점마다 환율 변동이 있어서 거래 순간의 금액이 반영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런 이유로 1385원이더라도 실제 환전가는 1397원이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러한 차이가 나는 이유는 환율과 매수 매도의 환율은 각 증권사나 은행에서의 수수료가 발생해서 그렇고, 그리고 매매용 환율에 대한 수수료와 전송용 환율 수수료가 조금 다릅니다. 따라서 언급하신환율 1385의 경우 매매나 전송용이 아닌 국제적인 거래 환율 이라고 보시면 되고, 언급하신 1397의 경우 매매용 환율 수수료라고 보시면 이해가 수월 하실 것 같습니다. 이러한 환율에 대한 매매나 전송 수수료로 금융사나 증권사 은행에서는 수익을 벌어들이고 있는 측면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준 환율과 삼성증권에서 제시하는 환율에 차이가 나는 이유는 환전 수수료 때문입니다. 이는 환율 스프레드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뉴스나 포털사이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재 환율 1385원은 보통 매매기준율을 의미합니다. 매매기준율은 은행이나 증권사 같은 금융기관이 외화를 사고팔 때의 기준이 되는 가격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고객이 외화를 사거나 팔 때는 이 매매기준율에 금융기관의 수수료가 더해지거나 빠지게 됩니다. 삼성증권의 경우, 달러를 살 때는 매매기준율에 수수료가 더해진 환율이 적용되고, 달러를 팔 때는 매매기준율에서 수수료가 빠진 환율이 적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기준 환율과 매입 & 매도 환율은 차이가 있습니다. 환전 서비스를 하는 해당 금융사의 관련 비용과 마진 등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아주 미미하기는 하나 개별 금융사들이 외환을 매입하거나 매도 할 때도 수수료가 발생하기 때문에 그 부분도 고려가 됩니다.

    즉, 원화를 달러 등 외환 매입 시 기준 환율보다 다소 비싸게 사고 팔 때는 기준 환율 보다 낮게 파는 게 일반적입니다.

  • 보통 증권사 등 금융사들의 경우 환전서비스를 제공할 때 환율과 함께 수수료를 적용시킵니다. 따라서 실제로 환전할 때는 환율보다는 조금 더 많은 돈이 수수료로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금융기관이 자율적으로 매도환율과 매수환율의 차이를 다르게 적용하고 매수와 매도환율차이를 다르게 적용하게 그 스페리드 차이만큼 금융기관이 자율적으로 이익을 수취하기 때문입니다

    거기다가 환율이 수수료도 별도로 적용되며 이는 금융기관이 자율적으로 하는것이고 본인들의 수익이기 때문에 차이가 나는것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각각의 증권사나 금융기관별로 확인해서 유리한곳으로 가입하는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환율은 매매기준이라 환율우대 100프로 받을 경우 가장 싸게 환전할 수 있는 가격입니다

    매매기준가격과 현찰살때 환율가격의 가격차이가 은행이나 증권 마진이죠 지금 매매기준 1383 이고 현찰살때 1407 입니다 네이버 하나은행기준이구요 1407-1383=24원 이죠 24원에서 환율우대를 몇프로 받아서 이 가격차이를 줄이느냐 차이죠 그래서 보통 환전할때 환율우대 몇프로 해주냐 보고 하고 많이 해주는 곳에서 환전하는게 기본입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