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주식투자가 활성화가 되어야 하나요? 주식도 일종의 투기 아닌가요?
개인이 주식을 투자한다고 해서 그 기업에
운영자금이 된다거나 하는것도 아닐텐데
왜 주식시장이 활성화되야 한다고 하는건가요? 부동산 시장이 활성화되어선
안된다는거엔 공감하는데 주식시장이
활성화되어야 한다는거엔 조금 이해가 안되서요. 참고로 주식투자엔 전혀 지식이
없는 사람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은 공모와 그리고 별도로 유상증자를 통해서 자금조달을 합니다
이말은 시장에서 ROE가 높고 주주환원유율 국내 자본시장이 발달되면서 밸류에이션 배수가 높게 적용됩니다 이경우 저평가가아니사 최소 보통 주식의 가치를 평가받게되고 주가가 높아지게 됩니다
이를 통해서 높아진 기업가치로 기업은 자본조달시 증자를 통해서 더많은 자금을 시장에서 조달이 가능하고 소통이 잘되고 거버넌스가 좋다면 증자사유가 시설투자나 향후 ROE나 수익성을 올리는 자본배치라면 미국에선 오히려 호재로 작동합니다
즉 이런 시장이 되도록 자본시장 개선이 필요한것이며 또한 시장이 거래량이 많고 유동성이 높아서 누구는 차익실현도하고 이런 참여자가 매우 많아지면서 가격이 올바르게 작동되는 시장이 되어야 비로소 주식시장의 자본조달과 배당이나 자사주소각등 주주환원도 올바르게 작동되는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투자는 단순한 투기가 아니라 기업 성장에 직접 참여하는 재테크 수단입니다. 주식 투자를 통해 자본을 불리고, 배당과 시세차익을 얻으며 자산을 늘릴 수 있습니다. 게다가 기업 경영 참여 권리도 부여받아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자본주의를 건강하게 유지하는데 기여합니다. 다만, 변동성과 위험이 있으니 신중한 분석과 분산투자가 필수입니다.
주식의 경우는 회사에 투자하는것이라 투자 방식에 따라 다르겠지만 투기가 될수도 있지만 투자가 될수도 있습니다.
개인이 주식 투자를 하면 그 자금들이 모여서 기업에 운영자금이 됩니다.
주식의 시장가치가 높으면 그걸 담보로 투자를 유치할 수도 있고 대출을 받을수도 있고 더 많은 기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투자가 활성화 되어야 주가가 상승하게 됩니다.
주가가 상승하게 되면 기업은 주식을 유상증자 하면서 자금을 유치할수 있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단 주식이 투기라는 개념은 조금 오류가 있습니다.
주식이든, 부동산이든, 가상화폐든 이걸 투기처럼 운영하는 일부 사람들이 문제이지
잘 공부하고 미래를 위해 투자하는 사람들이 더 많다고 생각합니다.
주식시장이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것은 여러 의미가 있을 수 있지만,
일단 기본적으로 선순환이라 생각합니다.
좋은 기업(매출성장, 비전 등)은 거래량이 좋을 수 밖에 없고, 이렇게 거래량이 활발해지면
기업 가치가 오르니 기업 입장과 투자자 입장 모두 좋을 수 밖에 없고, 이는 곧 경쟁력이 커짐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단순히 주식으로 개인이 돈을 버는 것이 기업에 도움이 안된다 라고 보기는 조금 어려운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시장이 왜 활성화돼야 하냐는 의문은 꽤 자연스럽습니다. 기업에 직접 돈이 들어가는 건 신규 상장이나 유상증자 때뿐이라 일상적인 매매랑은 거리가 있어 보이니까요. 그런데 시장이 커지고 활발해지면 기업 입장에서는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길이 넓어지고 투자자들은 다양한 기업에 참여할 기회를 얻습니다. 또 부동산과 달리 주식은 유동성이 높아서 돈이 묶이지 않고 돌 수 있다는 점이 경제 전반엔 도움이 된다고 봅니다. 물론 단기 차익만 노린 투기적 흐름은 문제지만 제도적으로 관리한다면 자본시장이 건강하게 돌아가는 게 산업 성장에도 영향을 준다고들 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이 주식에 투자하게 되어 주가가 상승할수록 기업의 운영자금이 늘어나는 것이 사실입니다. 기업은 주식을 발행해 자금을 모아 투자를 하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투자가 활성화가 되면 기업에서 해당 자금을 토대로 기업 운영에 활용을 할수 있습니다. 유상증자 등의 방식으로 운영 자금 마련도 가능하며, 기업의 이런 운영 자금이 활성화 되어야 신규 투자 등으로 기업 활성화가 이루어지고 채용도 증가되고 나라 경제도 발전되며 법인세도 많이 걷어서 국가 운영에도 쓰일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주가가 오르는면 기업이 자금조달하는게 좀 더 수월해지는건 맞습니다 유상증자 통해서 자금 조달이 가능하거든요
현대 사회에서 자본시장의 꽃이 주식시장입니다 한 회사의 주주가 되는건 그 회사에 지분을 가지게 되는 거고 회사가 영업활동을 잘 해서 수익이 나면 배당을 통해서 주주들한테 수익을 환원하는 구조입니다
그러니 주식시장은 투기보다는 투자라고 생각을 하셔야 하는게 맞을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시장을 투기의 장으로만 보거나, 개인의 매매가 기업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오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주식시장은 우리 경제의 혈액순환과 같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부동산 시장이 투기적 성격을 띠기 쉽고 자산 불평등을 심화시킨다는 비판이 나오는 것과는 달리, 주식시장의 활성화는 긍정적인 경제 효과를 가져옵니다. 주식시장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바로 기업이 사업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는 것입니다. 개인이 기존에 발행된 주식을 사고파는 거래는 기업에 직접적인 자금이 전달되지 않는 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그 전에 기업이 새로운 주식을 발행하여 자금을 모으는 과정이 있습니다. 기업공개로 대중에게 주식을 팔아 자금을 모을수도 있고, 이미 상장된 회사가 추가로 주식을 발행하여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왜 주식투자가 활성화 되어야 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주식은 결국 기업에 투자를 하게 되는 것이고
그 기업은 투자 받은 자본으로 회사를 운영하며
새로운 사업을 펼쳐나가게 됩니다.
그렇기에 주식은 투기라기 보다는 투자일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은 투자자들의 수익을 만들어서만 좋은게 아닙니다.기업은 은행에서의 대출보다 주식시장에서의 주식발행을 통한 자금을 조달하여 부담없이 미래에 대한 투자를 단행하여 국가의 산업발전과 고용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연금이나 보험 기관등이 주식에 투자하는 비중이 높기때문에 미래의 노후에 대한 자금출처도 됩니다.현재주식시장은 국가와개인에게 이익을 가져다 줄수있는 자본주의의 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