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중개수수료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다가구 원룸 월세 부동산 중개수수료 관련 문의드립니다.
★ 어플에서 확인한 부동산 매물 다가구 원룸 월세 매물정보
: 보증금 500만원 / 월세 40만원 / 관리비 5만원 = 총 45만원
★ 계약서 작성 당일 집주인 세금절세 문제로 아래와 같이 변경됨
: 보증금 500만원 / 월세 30만원 / 관리비 15만원 = 총 45만원
★ 부동산에서 제시한 중개수수료 산정기준
: 당초 어플에 올라온 매물정보 기준으로
부동산 중개수수료를 월세 45만원 (관리비 포함)으로해서 책정함
= 중개수수료 20만원 책정되고, 18만원 입금요청함.
질문. 부동산 계약서에 명시된 월세금액 (관리비제외) 30만원 기준으로
중개수수료를 지급해야되는것아닌지요?
중개인에게 문의하니 오피스텔, 아파트는 부과주체가 달라 관리비는 중개수수료 기준에 미포함되고,
다가구원룸은 보통 포함해서 계산을 한다고만 말해주시네요.
미리 답변감사드립니다..
어찌됐든 계약서에 월세와 관리비가 어떻게 기재가 됐느냐가 중요합니다
계약서 작성하면 중개대상확인설명서에 중개보수가 정확하게 기재됩니다
그내역서를 보고 부동산 수수료를 드리면 됩니다
중개사가 더 받고 싶어서 한 말입니다.
그런 구분은 없습니다.
원칙은 그냥 계약서에 적힌 보증금과 월세로만 계산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원칙상 관리비는 중개수수료 산정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계약서상 거래금액이 500/30이라면 해당 금액으로 중개보수를 산정하는게 맞습니다. 다가구원룸이라고 해서 또한, 부과주체에 따라 다르다고 말하는것은 잘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입니다. 그에 따라 중개보수는 환산보증금 2600만원 중개요율 0.5%을 적용하면 13만원이 맞을 듯 보입니다 , 만약 중개사분이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한다면 초과수수여부는 시청등에 민원을 넣으시면 확인가능할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구자왕 입니다.
공인중개사법상 주택의 종류를 떠나, 보증금과 월 차임에 대해서만 중개보수를 산출합니다.
관리비를 빼고 계약서에 기재된 월세와 보증금만 계산하는게 맞습니다.
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부동산 계약서에 명시된 월세금액 (관리비제외) 30만원 기준으로
중개수수료를 지급해야되는것아닌지요?
==> 네 맞습니다. 관리비는 중개보수 산정에 필요하지 않습니다.
중개인에게 문의하니 오피스텔, 아파트는 부과주체가 달라 관리비는 중개수수료 기준에 미포함되고,
다가구원룸은 보통 포함해서 계산을 한다고만 말해주시네요.
==> 관리비는 중개보수를 산정할 때 포함되는 요소가 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공인중개사 입니다.
중개수수료 산정과정에는 관리비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월세30만원으로 하는것은 임대차신고대상에서 제외되려는 불법적인 목적입니다.
중개인께서 다가구 원룸의 경우 관리비를 포함해서 계산한다고 말씀하셨다면, 이는 해당 중개업소의 자체 규정일 수 있으므로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해당 중개업소의 규정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부동산 중개수수료는 법적으로 정해진 상한선이 있으며, 이를 초과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중개인이 제시한 중개수수료가 합법적인지 확인해보시는 것도 중요합니다.
결론적으로, 관리비를 포함하지 않은 월세 기준으로 중개수수료를 지불하는 것이 일반적인 원칙이지만, 중개업소의 규정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중개인과 다시 한 번 명확하게 확인해보시기를 권장드립니다. 추가적으로, 지역 부동산 협회나 관련 기관에 문의하여 정확한 정보를 얻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