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비는 시야각이 314도나 되나요?
커뮤니티에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들에게 응원을 하기 위해서 나비를 주제로 글을 썼습니다. 그런데 댓글로 어떤 사람이 나비의 시야각이 314도라 자기 날개도 볼 수 있다던데 정말인가요?
나비는 실제로 314도 정도의 넓은 시야 범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주변 포식자를 경계하기도 하고 먹이를 찾는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네, 그 사람의 말이 맞습니다. 나비는 매우 넓은 시야각을 가지고 있어 거의 360도에 가까운 시야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는 나비의 눈이 수천 개의 개별 렌즈로 이루어진 복합안이기 때문인데, 이러한 구조 덕분에 나비는 넓은 범위를 한 번에 볼 수 있게 됩니다. 실제로 나비의 시야각은 대략 314도에서 324도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인간의 시야각이 180도 정도인 것과 비교하면 매우 넓은 범위입니다. 이렇게 넓은 시야각 덕분에 나비는 자신의 날개는 물론, 주변의 위험요소나 먹이 등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됩니다. 나비의 놀라운 시각 능력은 생존과 번식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자연 세계에서 나비가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게 해주는 핵심 요인 중 하나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실제로 나비의 시야각은 314도가 될만큼 엄청나게 넓습니다.
다만, 자신이 날개짓을할때 날개의 윗면은 관측할 수 없다는 특징도 있어서 아무리 시야각이 넓더라도 보지못하는 부분이 있다는 교훈적인 내용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나비의 시야각이 314도에 이른다는 말은 나비가 가진 눈의 구조와 시각적 능력을 고려할 때 상당히 타당합니다. 나비는 복안을 가지고 있어, 이 복안은 많은 작은 눈 '오마타디아'(ommatidia)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잠자리눈 생각하시면 이해가 쉬울 것 같습니다. 잠자리의 사방을 볼 수 있는 둥근 눈- 이 작은 눈들이 모여 360도에 가까운 광범위한 시야를 제공합니다. 복안은 나비가 주변 환경을 거의 모든 방향에서 볼 수 있게 해주어,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꽃에서 꽃으로 효율적으로 이동하면서 꿀을 채취할 수 있게 합니다. 이러한 시각적 능력은 나비가 빠르게 움직이는 동안에도 주변을 인지할 수 있게 도와주며, 심지어 자신의 날개도 볼 수 있게 해줍니다.
사람의 경우 눈이 두개이며 동공이 앞쪽을 향하고 있어서 시야각이 190도 정도입니다.
하지만 나비나 잠자리 파리 등의 곤충의 눈 구조는 사람과 많 다릅니다.
나비나 잠자리의 눈을 보면 머리에 비해 매우 크고 자세히 보면 촘촘하게 무늬들이가 보이는데요,
이것은 홑눈이라고 하며 이들의 눈은 홑눈들이 모여서 만들어진 겹눈입니다.
각 홑눈은 시각정보를 받아들일 수 있고 결국 빛을 감지할 수 있는 각도가 넓기 때문에 시야각도 넓습니다.
이는 뒤쪽에서 접근하는 포식자를 빠르게 감지하기 용이합니다.
다만 눈의 구조가 다른만큼 사람과 같은 방식으로 세상을 보지는 않습니다.
사람의 경우 눈 두개가 같은 범위를 보는 영역이 있고 겹쳐진 범위에 초점을 맞춰 정확한 중심시력을 가지지만
나비의 경우 외곽을 보는 위주로 중심시력을 가지지는 않습니다.
어느정도 맞는 말입니다.
왜냐하면 종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실제 나비의 시야각은 그보다 훨씬 넓은 345도에 달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나비가 머리를 돌리지 않고도 거의 전 방향을 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사람의 시야각이 대략 180~190도인 것과 비교하면, 나비는 훨씬 넓은 범위를 볼 수 있는 것이죠. 이러한 넓은 시야각은 나비가 포식자를 피하고 주변 환경을 잘 인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나비의 시야각은 약 314도로 넓습니다. 나비는 눈이 복합 눈으로 구성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넓은 시야를 가지고 있습니다....
네 사실입니다. 대부분의 나비는 약 300-320도 정도의 시야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나비는 양쪽 눈이 머리 양 옆에 위치하고 있어 이렇게 넓은 시야각을 갖습니다. 나비의 시야각이 넓은 이유에 대해서는 나비가 포식자로부터 몸을 보호하고 꽃이나 교미 상대를 찾기 위해서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나비의 시야각이 314도이기 때문에 자신의 날개의 일부를 볼 수 있는 것은 맞지만, 나비의 겹눈은 외각의 60% 정도만이 시신경을 갖고 있으며, 중심부는 시신경이 퇴화된 상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