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구조조정 이미지
구조조정고용·노동
구조조정 이미지
구조조정고용·노동
머리가 아파요
머리가 아파요23.01.11

회사에 응급 사직서를 썼는데 저만 안된다고 하시는데 대응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종합병원 다니고 있는 5년차 간호사입니다

이직하기 위해 노력해서 원하는 대학병원에 합격을 하여 16일까지 입사를 해야하는데 병원에서 한 달전에 사직의사를 밝혀야지 가능했다, 간호등급 떨어져서 사직서를 안받아주겠다 하시는데 대응가능할까요?


정말 이해가 안가는 점이 다른 선생님들은 힘들다 면담하고 곧 바로 응급사직 처리가 되었는데 저만 지금 안되고 있는 상황이고 그 선생님들은 왜 승인이 되었냐 물으니 태움이나 그런게 있었겠지.라며 정확한 원인도 모르면서 어떻게든 제 퇴사를 막으려고 해서 답답합니다.

이직하기 위해 노력했던 시간과 열정 정말 다 포기하고 싶지가 않습니다. 새로 입사하려는 병원은 해당 16일까지 입사가 되지 않는다면 합격이 취소될 수도 있다고 하는데 정말 눈물납니다.


더 이상 기존 병원에서 근무하면 숨이 막혀 죽어버릴 것 같아요. 사직서도 찢어버리거나 없었다고 잡아뺄까봐 사직서 쓰고 사진도 찍어놓은 상태입니다..


변호사라도 불러서 이 싸움 이기고 싶은데 병원 상대로서 이길 자신이 없습니다..

주변에서는 고용부 아니면 노무사 알아봐서 해결하자해서 이 곳에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해결책 좀 제발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호병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

    취업규칙 등 사직서 제출기간이 정해져 있다면 그것을 따르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사업주가 근로를 강요할 수는 없으므로 바로 그만두더라도 상관 없습니다. 다만, 이 경우 조기퇴직으로 인해 사업주가 손해를 받다는 사실을 증명할 수 있다면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는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해당 회사에서 퇴사처리를 1개월 이후에 해줄 수 있다고 끝까지 퇴사처리를 거부한 때는 해당 사실을 이직할 회사에 알리시어 1개월 후부터 입사처리가 가능하도록 요청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 때, 입사는 16일에 가능하며 이중 취업상태이긴 하나 퇴사처리로 인한 분쟁에 지나지 않으므로 이직할 회사에서 문제삼지 않는 취업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