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고용·노동

임금·급여

3대5백가능한가
3대5백가능한가

회사마다 공제해 가는 세금이 왜 다를까요??

얼마 전 친구와 서로 연봉에 대해서 오픈을 하며 대화를 하던 중 친구는 저보다 약 1천만원 정도 높게 받는데 실수령액은 월 40만원 정도 밖에 차이가 안납니다.

회사마다 세금을 떼는 비율이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

      세금을 애초에 120%로 떼냐, 80%로 떼냐의 문제로 알고 있는데

      해당 내용은 세무사 상담 이용 바랍니다.

      답변 도움 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근로소득세의 금액은 소득구간, 피부양자, 근로자가 신청한 소득세율의 배율, 비과세소득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상이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세금이 회사마다 다른 것이 아니고 4대보험요율은 동일하지만 근로소득세는 연령, 가족 등 다양한 변수에 따라 결정됩니다. 정확한 것은 세금세무 분야에 문의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

      4대보험은 월급에 대해 일정 비율을 공제합니다. 이와 달리 근로소득세는 소득의 구간에 따라 다른 세율이 적용되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정확한 내용은 세무사님께 질의하시는게 타당합니다.

    • 안녕하세요. 주현종 노무사입니다.

      4대보험료 및 소득세 등은 근로자가 지급받는 매월 임금액과 부양가족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세전 연봉은 더 높다고 하나, 세금을 공제한 실수령액 기준으로 놓고 비교했을 때는 금액차이가 줄어들 수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알 수 없어 명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 부양자 수, 20세 이하의 자녀의 수에 따라 부과되는 세금이 달라집니다.

    •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다르지 않다고 보입니다. 4대보험 및 근로소득세도 정해진 법정요율이 있습니다. 따라서 직원들이 받는 임금의 크기에 따라

      세금 및 4대보험료가 차이가 있겠지만 회사마다 다르지는 않습니다. 원칙적으로 회사가 다르더라도 임금액이 동일하다면

      공제되는 세금도 동일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