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재활·물리치료

근사한천산갑172
근사한천산갑172

가끔씩허리가통증이오고일어나려면많이아픈데어떻게하면돌까요?

성별
남성
나이대
76
기저질환
혈압.고지혈증.통풍약

허리가협착증이라해서주사도맞아보고무리치료도계속받았는데이제는점진적으로허리띠아랠내려오면서저녁에잠자다가일어나면허리가옵시아파서히이드는데또주사치료를받아야됩니까요

물리치료를계속받아도별효과가없는데요.상세한치료방법을알려주셍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물리치료와 주사 치료에도 효과가 없다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내시경 수술이나 미세침습 수술이 협착 부위를 제거하고 신경 압박을 줄여주는 방법입니다. 또한 신경차단술, 체외충격파 치료 등 다른 치료 방법을 시도하거나, 약물 치료를 병행해 통증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정형외과나 재활의학과 방문하셔서 정확한 상태를 파악하시고 거기에 맞게 치료 받으시ㅕ면 될듯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진 물리치료사입니다.

    허리통증으로 불편이 있으시군요.

    척추관협착증이 있으시다면 허리를 뒤로 젖히는 동작은 증상을 더 악화시키며 허리를 앞으로 굽혀주는 운동을 해주시는 것이 좋으며 통증이 없는 범위에서 빠른 걷기운동이나 수중걷기 운동을 해주시는 것이 허리 건강에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통증이 심해지신다면 정형외과에서 진료 받으시고 약물이나 주사치료, 물리치료, 도수 치료를 받으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허리 협착증은 신경이 눌려서 생기는 만성적인 지로한으로 허리띠 아래로 점점 통증이 내려오신다면 신경의 압박이 진행중인 상태이고 밤에 잘때도 통증이 심하시다면 신경의 압박으로 인한 염증과 신경의 손상 까지도 의심해 볼 수 있는 상태입니다.

    주사치료는 급성 통증이 심할때 일시적인 통증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으나 근본적인 치료가 아니기에 시간이 지나면 점차 다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근본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척추의 중립을 잡아주면서 관절의 안정성에 관여하는 코어근육에 대한 운동을 해주시는게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대표적인 코어근육 운동으로는 플랭크, 사이드플랭크, 버드독, 데드버그, 브릿지등의 운동이 있고 코어근육 운동 뿐만 아니라 병원에서 도수치료를 같이 받아보시는것도 협착증 증상 호전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허리 협착증으로 인한 통증이 지속된다면 주사 치료 외에 다른 옵션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물리치료 외에 신경 차단술이나 재활 운동 프로그램을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또 약물 치료나 척추 교정치료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증상이 심해지면 정형외과나 신경외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허리 협착증때문에 통증이 지속되고있는 상태이고 물리치료를 받아도 별다른 효과가없다면 추가적으로 다른치료방법을 처방받는것이 좋습니다 병원에서 다시 검사를받아보시고 전문의와상담후에 주사치료나 약물치료 또는 증상이심하다면 수술적치료까지 고려해보시길 바랍니다

    빨리 몸이 호전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약물치료 물리치료 주사치료 등등을 해보셔도 크게 효과가 없는 상태에서

    현재 많이 불편하시다면 이제는 수술을 고려하시는 수 밖에는 없습니다.

    정형외과 담당선생님과 상의를 해보세요

  •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꾸준한 운동이 필요하신 것으로 보입니다.

    주사와 물리치료는 통증완화와 기능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수동적인 치료만 지속하시는 것은 장기적으로 크게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누워서 할 수 있는 근력운동이나 척추 유연성을 위한 윈드밀 운동, 버드독운동이나 코어근육을 위한 데드버그운동을 추천드립니다.

    영상자료를 검색하여 참고하시거나 병원에서 주치의나 치료사에게 운동방법에 대해 설명을 들어보시기 바랍니다.

    수동적인 치료만 지속한다면 현재 겪고계시는 증상은 큰 진전이 없을 수 있으니 가능한 만큼은 능동적으로 움직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