넘어져서 찰과상 세균검사결과 확인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길가다가 넘어져서 무릎에 찰과상을 입었는데요~!
병원에서 세균..검사를 했더라구요.. 근데 전에 갔을때 진료가 미흡한거 같아서
세균검사지만 받고 왔는데 결과지 봐주실 수 있을까요??
포도상구균이 나왔는데 병원에서는 아주 안좋은 균이라서 긁어내라고 하더라구요...
현재 상처에 통증도 없고 거의 다 아물어가는데 따로 치료를 받는게 맞는건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상처 부위에서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이 소량(some) 검출되었고, 항생제 감수성 검사에서는 대부분의 항생제에 감수성(S)으로 반응했습니다. 즉, 이 균은 항생제 치료가 잘 듣는 균으로, 현재 심각한 감염 상태로 보이지는 않습니다.
특히 상처에 통증, 발열, 고름, 부기 같은 감염 증상 없이 거의 다 아물고 있는 상태라면, 굳이 상처를 긁어내는 등의 적극적인 처치 없이 경과를 지켜보는 보존적 치료만으로도 충분할 수 있어요
검사 결과에 MRSA라는 표기가 있지만, 이는 단순한 분류상 표기이며 실제로는 내성 강도가 높지 않고, 효과적인 항생제가 여러 개 있습니다. 현재 증상이 거의 없다면 굳이 불안해할 필요는 없으며, 상처 소독을 잘 유지하면서 관찰하시면 됩니다. 단, 이후에 상처가 다시 벌어지거나 통증, 열감, 분비물이 생긴다면 그때는 즉시 병원을 방문해 추가 치료를 받으시는 게 좋습니다
아마 MRSA라서 '긁어내야한다'라고 한거 같은데 제가 상처를 보지 못해서 알순 없으나 말씀하신대로 이미 다 아문 상처라면 크게 걱정할건 아닌 듯 보여요. 다만 의문이 남으시면 직접 여쭤보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어쨌든 직접 진료와 검사를 진행한 병원이기 때문에 환자에 대해 더 잘 이해하고 있는 상태인건 맞으니까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넘어져서 무릎에 찰과상이 생기셨고 포도상구균이 나왔다는 결과지를 받으신 상태이고 현재는 통증도 없고 상처도 거의 아물어가고 있는 상황이라면 아주 나쁜 상태는 아닐 수 있으며 포도상구균이 검출 되었다는 의미는 상처를 통해 침투하여 감염을 일으킬 수 있고 드물게 피부 깊은 층 또는 혈류 감염으로 발전할 수도 있는 질환으로 긇어내자고 말한 이유는 상처가 겉보기에는 좋아 보여도 균이 깊이 남아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되어 그런 것으로 생각됩니다.
혹시라도 상처부위가 다시 붓거나 단단해지고 붉어지거나 따듯해지면 즉시 병원에 다시 방문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포도상구균은 상처를 화농성으로 진행시키거나 염증이 심해질 수 있게 작용하는데요, 상태에 따라서 항생제를 처방하거나 균을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상처회복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현재 상태에서 과한 치료라고 생각되신다면 다른 의료기관에도 방문하셔서 전문의들의 다양한 의견을 참고해보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설명을 다 들으신 것 같습니다.
culture라고 쓰인 부분인 균 배양검사를 한 것으로 여기서는 Staphylococcus aureus(황색 포도상구균)이 검출되었네요
antibiotic susceptibility 항생제 감수성 검사에서는 MRS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으로 항생제에 내성이 있는 균주로 밝혀졌구요 소위 말하는 독한 균이지요
병원에서 진료받은 내용대로 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검사결과에서는 감염균이 발견되었지만 다행히 항생체 감수성이있기때문에 상처가 거의아물고 통증이없다면 추가적인 긁어내는 치료는 필요없이 소독과 상처관리로도 충분히 치료가가능할걸로 보입니다
하지만 재감염의 위험도있을수있으니 병원에서 전문의와 상담을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검사결과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었고 일부 항생제에는 내성이 있고 다수 항생제에는 감수성을 보입니다 현재 통증이 없고 상처가 거의 아문상태라면 감염 진행이 없는 것으로 보이나 내성균이므로 재감염 우려가 있어 경과 관찰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