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복지서비스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 지자체는?
우리나라의 복지 서비스는 지역별로 편차가 있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현재
우리나라에서 복지서비스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 지자체는?
대한민국에서 복지서비스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 지자체 순위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지역복지사업 평가에 따르면
1위 대구광역시, 2위 경상남도, 3위 충청남도, 4위 전북특별자치도, 5위 서울 성동구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관우 사회복지사입니다.
24년 지역복지사업평가 기준으로 분야별로 살펴보면
1.고독사 예방,관리
서울 관악구
2.의료돌봄통합지원
광주 북구
3.찾아가는 보건복지 서비스
부산 연제구, 경기 오산시, 대구 달서구
4.민관협력과 자원연계 서비스
광주 북구
한 지자체가 탁월하기 보다는 분야별로
성과를 보이는 지자체들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사회복지사입니다.
복지서비스 분야에서 최근 주목 받는 지자체로는 서울 광진구, 대구 달서구, 전북 전주시, 부산 동래구, 경기 광명시,
전남 신안군, 대전 대덕구, 경북 포항시, 경남 함안군 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고동열 사회복지사입니다.
우리나라 최고의 복지 지역은 경북 문경시 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수도인 서울시 입니다.
안녕하세요. 박경태 사회복지사입니다.
현재 2025년 우리나라에서 복지서비스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 지자체는 서울특별시, 경기도,부산광역시, 대전광역시, 전라북도 등이 되겠습니다. 서울특별시는 서울형 긴급복지 지원이라고 해서 실직, 휴폐업 등 갑작스러운 위기상황 겪는 서울 시민, 내용은 4인기준 생계비 118만원에 의료비 300만원 내외로 지원하는 것이며 특징은 중위소득 85% 이하, 기초 수급 아니어도 지원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경기도에서는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이라고 해서 대상은 만 24세 도내 거주 청년으로 분기별 25만원씩 연 100만원 지역화폐를 지급한다고 합니다.
부산광역시는 부산시 에너지 바우처 확대 지원으로 대상은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중 에너지 취약계층으로 내용은 여름철 냉방과 겨울철 난방비를 통합 지원하는데 최대 37만원으로 특징은 2025년부터 여름 바우처 상향 조정한다고 합니다. 대전광역시는 대전형 긴급생계지원금으로 대상은 중위소득 100% 이하 세대 중 일시 위기 가구이며 내용은 생계비 1인당 최대 50만원 단기 지급하고요. 특징은 서류 간소화로 빠른 지급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비수급자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전라북도는 전북형 농촌주거환경 개선사업으로 대상은 농촌 거주 저소득층 고령자이며 내용은 주택 개보수 비용 300만원에서 1200만원을 지원한다고 하며 조건은 기초수급자 또는 차상위 계층이 우선이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사회복지사입니다.
우리나라는 전국 공통복지 정책(기초생활보장제도, 긴급복지지원제도, 아이돌봄서비스, 에너지바우처, 장애인 활동지원 등)과 지자체별 특화복지 정책(청년, 노인, 장애인, 아동 등)으로 제공되는 서비스가 있습니다. 그래서 지자체별 특화 복지서비스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 자자체는 서울특별시(청년 월세지원, 돌봄SOS센터, 1인가구 안심서비스 등), 부산광역시(청년 주거바우처, 장애인 맞춤형 돌봄 서비스 등), 대구광역시(청년교통비 환급, 중장년 재취업 등) 등으로 주민의 요구와 지역 특성에 맞게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주하는 지역 행정복지센터나 복지로 누리집을 통해 어떤 특화된 복지서비스가 이루어 지고 있는지 정확하게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