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츠를 보면 왜 도파민이 나온다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쇼츠를 많이 보면 도파민이 많이 나온다는데
사실인가요??
제가 유튜브 쇼츠를 계속 봐도 별로 재밌지도 않고 도파민이 나온다는 느낌도 없는데요??
왜 도파민이 나온다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쇼츠(Shorts) 시청이 도파민 분비를 촉진한다는 주장은 인간의 뇌가 짧은 동영상에 반응하도록 진화했기 때문입니다.
우리 뇌는 새롭고 짧은 자극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쇼츠와 같은 15초 내외의 재미있는 동영상을 연속해서 시청하면 뇌가 이를 보상으로 인식하고 쾌감을 주는 도파민을 분비합니다. 그러나 개인차가 있어 누군가에게는 그 효과가 미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짧은 동영상의 연속 시청은 도파민 방출을 유발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인간의 진화 과정에서 새로운 자극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생존에 유리했기 때문입니다.
도파민은 뇌의 신경세포가 흥분을 전달하는 신경전달물질입니다. 숏츠나 릴스와 같이 짧은 시간에 시각적 청각적으로 많은 정보를 넣게되면 뇌에서는 많은 도파민이 나오게 됩니다. 이 도파민이 많이 나오면 당장은 어떠한 느낌이 나거나 그렇지는 않지만 과하게 나오는것이 익숙해지면 도파민중독 증상에 빠져 나중에 어떠한 자극에도 도파민이 잘 분비되지 않아 반응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무기력증, 우울감등에 빠질 수 가 있게 됩니다.
유튜브나 숏츠등의 도파민 과다를 일으킬 수 있는 미디어를 자제하는 습관을 기르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유행어 처럼 사용 되는 말 같습니다. 도파민은 우리가 즐거움을 느끼거나 보상을 받았다고 인식할 때 분비됩니다. 아마도 쇼츠를 보면 자극이 있고 재미있다. 를 우회적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쇼츠를 보거나 재미있는 활동을 할 때 도파민이 분비된다는 주장은 일부 연구에서 제기되었지만, 이에 대한 과학적인 증거는 아직 뚜렷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도파민은 기쁘거나 흥분되었을 때 감정을 지배하는 신경전달물질입니다. 즉, 쇼츠를 보면 도파민이 나오는게 아니라 쇼츠를 좋아하고 쇼츠를 통해 스트레스 해소가 되는 사람들은 도파민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파민'이란 중요한 뇌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로서, 기쁨, 보상, 학습, 운동 조절 등 다양한 기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호르몬입니다. 요즘 유튜브와 같은 플랫폼에서 유행하는 쇼츠 영상은 대부분 15~60초의 매우 짧은 시간만큼 자극적인 영상이 많은데요, 일상에서 긍정적 자극이나 보상이 있을 때에도 도파민이 분비되는데 도파민이 분비될 때, 우리 뇌는 이러한 자극을 긍정적인 것으로 인식해 이후에도 같은 자극을 추구하게 됩니다. 도파민 분비가 과다하게 되면 더더욱 자극적인 영상을 찾게 되기 때문에 도파민 중독이라는 말도 나온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쇼츠는 짧은 시간에 새로운 정보를 얻는다는 특성상,
무언가 새로운 것을 알아내거나 일에대한 보상으로 분비되는 도파민이 쉽게 분비되기 쉬운 구조입니다.
하지만 쇼츠를 본다고 무조건적으로 도파민이 많이 나오는 것은 아니고,
쇼츠라도 비슷한 내용의 쇼츠를 계속 보는 경우 뇌가 새로운 정보라고 받아들이지 않아
도파민 분비가 저조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