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등급이 아니라 신용점수제로 바뀐 이유가 무엇인가요?
과거에는 신용등급으로 나와서 1등급, 3등급... 조금 더 직관적으로 내가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있었는데, 지금은 점수라서 그걸 알기 어려워진 것 같아요. 신용등급이 아니라 신용점수제로 바뀐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신용등급제에서 점수제로 바뀐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등급제도의 문제는 같은 2등급이어도 어떤 이는 높은 2등급일 수 있고
어떤 이는 낮은 쪽의 2등급일 수 있는데 등급제도는 이를 구분하기 어려웠기에
점수제로 더 정확한 신용 평가를 하게 된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신용등급으로 하게 되면 사람을 9단계로 밖에 나누지 못하지만 점수제로 하면
좀 더 촘촘하게 다양한 분석으로 사람들의 신용점수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를 활용하여 신용에 따라 금리를 차별화하고 대출 금액을 차별화하는 것이 가능해졌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준기 경제전문가입니다.
문의글 답변드립니다.
답변 : 과거의 '신용등급제'는 실제 신용에 별 차이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등급의 구분 탓에
대출이 거절되는 등 등급 간의 '문턱효과' 때문에 폐지 후 2021년 1월 1일부터는 '신용점수제'로 전환했습니다.
✅️ 세움인베스트 이준기 경제전문가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신용등급제보다 신용점수제가 더욱 세분화된 평가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신용등급 5등급과 6등급의 경계에 있는 경우 단 10점미만의 차이로 불이익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점수로 세밀한 평가와 지원이 가능하기 때문에 바뀌게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신용등급제는 1~10등급처럼 구간이 나뉘어 있어 작은 금융 활동에도 등급이 크게 변해 불합리한 부분이 많았어요.
그래서 더 정밀하게 개인의 신용 상태를 반영할 수 있는 신용점수제로 2021년에 바뀌게 된 거지요신용등급제가 신용점수제로 바뀐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등급 경계선에 있는 사람들에게 발생하던 불합리한 불이익을 해소하기 위해서입니다. 단 1점 차이로 대출 조건이 크게 달라지는 문제를 점수제를 통해 완화했습니다.
점수제로 개인의 소비와 상환 이력을 더 세밀하게 분석할 수 있어 맞춤형 신용평가와 금리 적용이 가능해졌습니다.
신용이 낮은 사람에게도 금융 기회를 확대해주기 위한 측면도 있습니다.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점수제를 사용하고 있어 국제 기준에 부합하도록 제도를 정비한 목적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신용등급에서 신용점수제로 바뀐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2점 차이에 불과하나 등급이 갈리면서 생기는 부작용 등을 최소화하고 등급 간의 이동이 어렵다는 지적을 받아들이면서 신용점수제로 변경된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신용등급제는 작은 점수 차이로 4등급이냐 3등급이냐가 갈리게 됩니다.
이러한 불이익을 최소화 하고 신용 경계선에 있는 사람들의 혜택을 공평하게 주기위해
신용점수제로 바뀌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신용등급은 실질적인 신용도가 비슷한데도 등급이 한 단계 갈림으로써 불이익을 받을 수 있었는데요.
신용점수제는 이 같은 '문턱 효과'를 줄일 수 있습니 다. 신용등급제의 허점을 메워 보다 견고한 금융 서비스를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데 기여할 수 있게 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