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머리에초코렛무스
머리에초코렛무스23.12.17

전환사채가 무슨 뜻인가요???

주식 용어를 보면 전환사채라는 단어가 있는데 이게 뭔가요??


유상증자, 무상증자 이런게 전환사채에 포함되는 건가요??


투자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뭘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전환사채는 일정한 조건에 따라 채권을 발행한 회사의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채권으로서 전환 전에는 사채로서의 확정이자를 받을 수 있고 전환 후에는 주식으로서의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사채와 주식의 중간형태를 취한 채권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전환사채는 기업이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 채권을 발행하고 돈을 받는데 이 채권은 나중에 원금과 이자로 수령할 수도 있고, 신주로 전환할 수도

      있는 권리가 있는 사채로 금리가 낮아도 전환할 수 있는 옵션이 있기에 인기가 좋습니다.

    • 반면에 기존 주주입장에서는 주식수가 늘어나게 되어 보유하고 있는 주식의 가치가 떨어지게 되어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채권 +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선택권(옵션).' CB를 짧게 요약하면 이렇게 표현할 수 있다. 처음 기업이 이를 발행할 땐 보통의 회사채와 똑같지만 일정한 기간이 지나 주식전환권이 발동하면 투자자가 원할 때 채권을 주식으로 바꿔 주가상승에 따른 차익을 볼 수 있는 구조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전환사채란 convertible bond, CB라고도 불리며, 이는 사채권자에게 전환조건에 따라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사채를 의미합니다.

    유상증자, 무상증자와 전환사채는 별개이며, 전환사채가 주식으로 전환하게 되면 기업 입장에서는 부채가 줄어들고 자본이 증가하기 때문에 상환 부담이 줄어듭니다. 또한, 투자자에게 전환권이 부여되므로 발행금리 또한 일반적인 회사채보다 낮게 발행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복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전환사채란 채권의 일종으로서 일정한 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주어진 채권입니다. 전환사채는 기업이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발행되며, 채권의 소유자는 일정 기간 이후에 채권을 현금으로 회수할지, 아니면 주식으로 전환하는 게 좋을지 판단하게 됩니다. 전환사채가 발행되거나 전환사채를 주식으로 전환했다는 뉴스는 악재로 작용합니다. 기업의 가치는 변함이 없는데 주식수가 늘어난다는 것은 주당가치가 낮아지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한편 유무상증자는 아예 처음부터 기존 주주들에게 유상 또는 무상으로 주식을 추가발행하는 것으로서 발행후 상장 시점에는 권리락이 발생합니다. 즉, 일정 비율로 주가가 낮아지는 것이죠.

    도움이 되셨기 바라며,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철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전환사채는 기업이 발행하는 사채의 일종으로, 투자자가 원하는 경우 일정한 조건에 따라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는 사채입니다.


    전환사채는 일반적으로 특정 기간 동안 이자를 지급받을 수 있는 사채로 발행되며, 일정한 가격과 비율에 따라 주식으로의 전환이 가능합니다. 전환사채의 발행 시 조건에는 전환가격, 전환비율, 전환기간 등이 명시됩니다.


    전환가격은 전환사채를 주식으로 전환할 때 적용되는 가격을 의미하며, 전환비율은 전환사채 하나당 전환할 수 있는 주식의 수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전환비율이 1:10이라면 전환사채 1장을 가지고 주식 10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전환사채의 주식 전환이 일어날 수 있는 기간을 전환기간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기업은 전환기간 동안 투자자가 전환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합니다.


    전환사채는 투자자에게 다양한 선택권을 제공하며, 주식 시장에서의 주가 상승에 따른 이익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입니다. 주식의 가격이 상승하면 투자자는 전환권을 행사하여 주식을 저렴한 가격에 확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전환사채는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고 동시에 주식 발행을 유도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투자자에게는 주식으로의 전환을 통한 이익 창출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전환사채라고 하는 것은 CB라고 하는 것인데 사채에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콜옵션의 성격을 더한 것이에요. 전환사채는 회사 입장에서는 사채를 일반 회사채보다 금리가 낮게 발행하고 향후 사채가 주식으로 전환될시에 부채가 낮아지는 장점이 있지만 주주들의 입장에서는 잠재적인 추가 주식 발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악재가 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