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이렇게 집값이 미친듯이 올라가는건가요?
얼마전에 84제곱짜리 원베일리? 반포에 있는? 국평인데 이게 40억?인가 60억인가 팔렸다는것 같던데..
돈이 썩어남아 돌아다니는것도 아니고 그돈을 주고 84아파트를 왜 사는건지 이해가 안되네요
이해를 할수있는 범위자체를 넘어서 그런지
왜그돈을 주고 사는걸까요?
그게 나중에 100억 될거라는기대인건가요?
아무리 화폐가 종이 조가리가 된다해도 저가격은 아무리봐도 너무한것 같은데?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사실 보는 사람의 관점마다 생각하는 것은 다르기에 이를 뭐라 평가하기는 어렵습니다. 만약 미래에 인구감소가 현실화되면 우리나라 특성상 지역간 양극화가 가속화될 가능성이 높고 그에 따라 수요가 몰리는 지역에는 더 많은 수요가 몰리고, 반대되는 지역은 쇠퇴로 이어질수 있다는 가능성을 볼때 현재의 서울내 상급지등은 최후까지 그 가치를 유지할수 있는 부분이 있을수 있습니다. 결국 부동산 시장에서 투자를 하는 사람들은 그들만의 관점과 생각으로 판단하여 투자를 하는 것이기에 그 결과를 미리 예측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다만 한 사람의 개인적판단으로도 질문에서 말한 가격대는 이해가 쉽게 되지않는부분으로 거품이 심하다는 생각은 듭니다.
그 집을 사는 사람들이 무리해서 그 집을 산다고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그정도 집을 사는 사람들이 오히려 10억 안되는 집을 사는 사람들보다 대출 없이 사는 비율이 많습니다.
그냥 돈이 많은것입니다.
그정도를 소비해도 문제 없을 정도로 돈이 많은 것입니다.
반포에 살아야 하는데 그집이 그 가격일뿐입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있는 분들은 그돈을 주고라도 들어갑니다
그들만의 지역이 될수 있습니다
재건축을 했고 입지,인프라가 잘갖춰져 있고 커뮤니티가 잘되어 있어서 그런지 비싸도 선호를 합니다
이해 할수없지만 현실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에는 각종 편의시설과 교육시설, 공공기관, 교통시설, 판매시설, 문화시설 등 사람에게 필요한 모든 것이 설치되고 그와 관련한 수많은 일자리가 있으며 다양한 수요와 다양한 공급이 발생하고 제공되는데 반해 주택보급률이 2022년기준 93.7로 다른지역과 달리 주택 수요가 많아서 아직까지 상승여력이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지역이 그런것은 아니고 조건이 갖추어진 강남 등 일부지역에 대한 선호도가 특히 높은데 주택은 특성상 이동이 불가능하니 목적 주택은 한정적이고 찾는 사람들은 많으니 가격이 비상식적으로 올라가는 것입니다. 이는 한정품인 명품에 엄청난 돈을 지불하게 되는 것과도 유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서울의 핵심지 신축 아파트가 귀해서 가격이 천정부지로 오르고 있습니다. 인구가 줄고 지방의 인구가 서울 쏠림 현상이 지속되어 신축 아파트가 부족하기 때문에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앞으로 인구가 준다고 해도 사람들이 살고 싶어하는 곳은 한정적이기에 서울 요지의 아파트는 가격이 지속적으로 오를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홈런공인중개사사무소 슬러거(김찬울) 공인중개사입니다.
최근 서울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 원베일리' 전용면적 84㎡ 아파트가 60억 원에 거래되며, '국민평형' 아파트 중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여러 복합적인 요인들이 있는데요.
가장 먼저 입지의 희소성을 들 수 있습니다. 반포동은 한강변에 위치한 고급 주거 지역으로, 우수한 교육 환경과 편리한 교통망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입지적 장점은 부동산 가치 상승에 크게 기여합니다. 그리고 최근 주택 시장에서는 신축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래미안 원베일리'는 2023년 8월에 입주한 신축 단지로, 최신 시설과 우수한 설계를 갖추고 있어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반포동은 강남구의 다른 지역과 달리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제외되어 있습니다. 이로 인해 갭투자가 가능해지면서 투자 수요가 몰리고 있습니다. 서울을 중심으로 한 부동산 시장에서 초고가 아파트의 가격 상승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이는 부의 양극화와 '똘똘한 한 채'를 선호하는 경향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한 가지 이유가 아닌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래미안 원베일리'와 같은 고가 아파트의 가격이 급등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