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법률
청렴한해파리59
청렴한해파리59
23.11.01

퇴사사유가 거짓일 경우 문제가 될 수 있나요?

학원 강사(합기도 사범)로 약 한달 간 근무했는데 휴식 시간도 보장이 안되고 원장님과 잘 맞지않았고 근로계약서도 작성하지

않아 퇴사를 해야겠다고 마음을 먹었습니다.

다만 마땅한 사유가 없어 고민하다 다리를 다쳤다는 거짓 사유를 만들어 다음 날부터 출근이 어렵다고 말씀드리면서 퇴사를 해야겠단 의사를 말씀드렸습니다.

다만 당장에 사람이 구하기 어렵다, 주변 학부모들이 선생이 자주 바뀌면 안좋은 소문 돈다 등등을 말씀하시며

퇴사는 어렵고 치료받고 회복하고 와라(약 1달) 라고 하셨습니다.

저는 일단 생각해보겠다고 말씀드렸고

약 1달의 시간이 흘러 다시 연락이 와서 애들이 기다린다 등 말씀을 하시며 다음 날부턴 출근을 해야된다고 하셨습니다.

일단 알겠다고 말씀드리고 전화를 끊은 후 문자로 더 이상 출근하기 힘들 것 같다고 말씀드리고 연락을 받지 않고 있는 상태(차단함)입니다.



1.근로계약서 미작성으로 계약기간을 따로 정하지 않아

당일에 퇴사를 통보하고 잠수탄 것이 문제가 될 수 있는지


2.퇴사 사유가 거짓말인 것이 문제가 될 수 있는지


3.민법 제 660조에 따르면 퇴사 의사를 밝히고 한달 후 근로관계가 해지가 된다던데 이때 한달 전에 최초로 말씀 드린 것을 기준으로 적용이 될 수 있는지


4.원장님이 손해배상으로 고소를 할 수 있는지


4가지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