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시간은하루 몇시간이 적당할까요??
육아시간으로 근무를 하루 몇시간 정도 하는것이 좋을지 궁금하빈다 아이가 잘 크기 위해서는 어머니가 보살펴 줘야 할 시간이 많이 들어 갈 거 같아서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육아 시간으로 근무를 하루 몇 시간 하는 것이 좋을지는
아이와 함께 하는 시간이 많이 필요 하다고 느껴진다면 일의 시간 보담도 아이와 함께 하는 시간을 늘리는 것이
좋겠습니다.
물론, 일 하는 시간 보다 아이와 함께 하는 시간을 가지면 아이의 정서적 안정감 및 애착형성 그리고 부모님과의
거리를 좁혀 나가면서 아이와 부모 모두 에게 좋은 추억으로 남겨질 순 있는 부분이 크지만
현실은 먹고 사는 것이 바쁘기 때문에 일과 양육 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을 수 없는 부분도 큽니다.
그렇기에 아이에게 많은 시간을 할애 하고 싶다 라면 일을 시간제로 하고 아이와 함께 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세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마다 아이의 연령에 따라 많이 차이를 보일것 같은데요
나이가 어리다면 육아의 기간이 늘어 날 것으로 보입니다
뭐든 과하면 좋지 않을 것 같아요 아이가 할수 있는 일은 아이가 스스로 할수 있도록
유도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엄마가 하루 8시간 이하로 보육을 하시고 배우자가 나머지 시간을 채워 보육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8시간 보육도 매우 어렵다고 볼수 있어요
엄마의 체력등을 고려 해서 아이을 보육 하는 것이 좋고 상황이 된다면 어린이집 시설을 이용 해서
아이를 어린이집에 보내고 엄마도 휴식을 취하고 자기 개발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맞벌이가 아니면 아이를 키우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엄마도 집안 경제에 도움이 될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은 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육아에 적당한 시간을 수치로 규정하기는 어렵겠지만 일하는 부모님으로 가정했을때 3~6시간 정도가 되지 않을 까 생각됩니다. 가족 상황 근무여건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아이 성장에 가장 중요한 점은 돌봄의 질과 부모와의 교감입니다. 하루 짧은 시간이라도 진심어린 상호작용이 있으면 충분히 아이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보육교사입니다.
근로시간은 하루 8시간으로 주 40시간이지만 육아를 위한 근무시간은 정해져 있지 않기때문에 따로 퇴근시간이 없습니다. 아이가 잘 크기 위해 엄마의 보살핌과 관심과 사랑이 담겨 있는 질좋은 육아가 필요하기 때문에 엄마의 퇴근은 아이가 잠을 푹 자야 근무시간이 종료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 연령과 성향에 따라 달라지지만 보통 영유아 시기에는 하루 최소 4-6시간 정도는 직접적인 돌봄, 놀이, 대화 시간이 필요합니다. 전일 돌봄이 어렵다면 조부모, 보육시설, 배우자와 분담하는 것도 좋습니다. 아이와 질 높은 시간을 보내는 것이 중요하며 단순히 시간의 길이보다 집중해서 놀아주고 교감하는 시간이 아이 발달에 도움이 됩니다.
아이의 연령에 따라서 부모의 근로시간이 탄력적으로 유지된다면 더할나위 없이 좋을 것 같습니다.
연령별로 특성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아이의 연령에 따른 보살핌 필요 시간
0~2세 (영아기): 하루 대부분의 시간을 엄마와 함께 보내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이 시기에는 애착 형성이 중요하므로 하루 4~6시간 이하의 근무가 권장됩니다.
3~5세 (유아기):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다니기 시작하면서 엄마의 근무시간을 조금 늘릴 수 있습니다. 하루 6시간 정도가 적당하며, 퇴근 후 충분한 교감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6세 이상 (학령기): 학교 생활이 시작되면 아이가 독립적으로 활동하는 시간이 늘어나므로 하루 6~8시간 근무도 가능하지만, 방과 후 돌봄이나 정서적 지원은 여전히 필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