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지금처럼의희망
지금처럼의희망

핵심이 되는 단축다리 의 원인이 있을까요?

성별
남성
나이대
62
기저질환
고혈압

교통사고 경부의 염좌, 추관 협착증, 추간판 탈출증, 미란성 특발성 과다골화증, 좌측 아킬레스건 파열, 좌측 오금근 파열로 인한 단축다리가 예상되는바, 주된 단축다리 의 원인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여러가지 질환과 부상으로 인해 단축다리를 의심할 수 있다면, 말씀하신 상황으로는 정확한 의견을 표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각각의 질환마다 단축다리를 유발할 수 있는 요소가 있는 바, 정확한 소견은 정밀검사를 통해 전문의의 소견을 들어보시는 것이 정확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단축다리는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어요. 교통사고로 인한 경부의 염좌는 보통 목 주변에만 영향을 미치는 반면, 추관 협착증은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가 좁아지면서 신경을 압박할 수 있지만 사지 길이 자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진 않아요. 추간판 탈출증 역시 신경 압박으로 인한 통증이나 이상 감각이 주된 증상이지 다리 길이 변화에 직접적인 원인은 아닙니다.

    미란성 특발성 과다골화증은 뼈 조직의 과다 생성과 관련된 질환인데, 오히려 뼈가 길어질 수도 있겠지만, 이상적으로 균형 잡혀 있지는 않을 수 있습니다. 좌측 아킬레스건 파열의 경우, 부상으로 인해 다리의 길이나 기능이 변화할 수 있으며, 좌측 오금근의 파열은 무릎 부위의 근육 파열로 인한 기능 저하로 인해 보행에 변화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양다리의 움직임이 달라졌다면, 상대적으로 한 쪽 다리가 짧아 보일 수 있습니다.

    질문의 상황에서 단축다리가 예상되는 주된 원인은 좌측 아킬레스건 파열이나 좌측 오금근 파열로 인한 근육 및 힘줄의 손상으로 다리 기능의 불균형이 생기는 경우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이러한 복합적인 요인들은 개별적인 상황에 따라 다르게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을 위해 병원에서 정밀한 평가가 필요하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제시하신 여러 손상 중 단축다리의 주된 원인은 골반 척추 정렬에 영향을 주는 경부 염좌, 추관 협착증 추간판 탈출증 등 신경계 척추계 손상이 가장 유력합니다. 골반틀어짐이나 척추 불균형은 기능적 단축 다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좌측 아킬레스건 및 오금근 파열도 다리 길이 차이를 만드는 보행 이상을 일으켜 간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다리길이차이는 근육의긴장이나 골반불균형에의해서 생기는 문제일수있습니다

    아킬레스건이나 오금근파열등으로인해서 치료를받은적이있다면 근육문제일가능성이큰데요 불편감이지속된다면 어떤문제로 인해서 생기는 증상인지 감별진단하기위해 병원에서 검사를 받아보는것이 좋습니다

    빨리 몸이 호전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다리길의 차이 같은 경우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으며 다리길이의 차이는 크게 구조적인 다리길이 차이 또는 기능적인 다리길이 차이로 나뉠 수 있습니다.

    구조적인 다리길이 차이 같은 경우 실제로 뼈의 길이가 달라지는것으로 외상이나 혹은 질환 상해등으로 인해서 구조적인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를 의미하며 기능적인 다리길이 차이는 뼈 자체 길이는 정상이지만 통증이나 평소 자세와 습관등으로 인해서 골반의 비대칭 및 보행의 이상등이 발생하면서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말씀하신 질환중에는 아킬레스건 파열 또는 오금근 파열로 인한 보행 패턴의 변화나 혹은 추간판 탈출증 및 협착으로 인한 통증으로 인한 보행 및 근육의 불균형으로 인해서 다리길이차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정확한 상태를 알 수 없기 때문에 가까운 병원에 방문하시어 정확한 상태 검사 받아보시고 상태에 맞는 치료 및 처치등을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