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기타 육아상담

시뻘건앵무새111
시뻘건앵무새111

25개월 아이 기저귀를 하는데요...

안녕하세요

25개월 아이 아직 기저귀를 하는 상황입니다...

기저귀를 하고 있는데

자꾸 서서 쉬를 하는데 기저귀는 그렇게 안젖고

다 세더라구요..

머가 문젠지 잘 모르겟습니다...여자아이구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기저귀를 하고 있는데 기저귀가 샌다면 기저귀 부분의 착용이 미흡해서 일 것입니다.

    아이의 체형과 맞지 않거나 다른 원인이 이유가 될 수 있겠는데요.

    즉, 여러 원인을 적어드리면 '

    첫째, 크기가 작다.

    둘째, 크기가 크다.

    셋째, 기저귀 구조상의 문제

    넷째, 흡수량 부족

    다섯째, 날개(샘방지)부분이 잘못 펴서 등의 원인이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장은아 유치원 교사입니다.

    기저귀가 밀착하여 착용이 안되면 셀 수 있습니다.

    혹시 최근에 기저귀 사이즈를 바꾸셨다면 잘 맞는지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몸무게는 기저귀에 표기된 것과 맞는데 허벅지가 얇아서 밀착이 안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착용한 후 기저귀 옆 부분이 접히지 않고 잘 밀착이 되었는지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여자아이가 서서 소변을 보는 것은 변기 사용에 대한 관심을 보이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변기 훈련을 시작하여 자세를 올바르게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25개월 여자아이가 서서 소변을 보는 것은 기저귀 착용방식이 잘 맞지 않거나, 변기 사용에 관심을 보이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변기 훈련을 시작해 보세요.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태어나자마자부터 기저귀를 계속해서 차고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부모님께서 아이들이 기저귀를 뗄 수 있도록 사전에 얼마나 노력을 해주시느냐에 따라서 아이들이 기저귀를 빠르게 떼기도 하고 계속해서 차고 다니기도 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부모님께선는 아이가 두돌이 지나갈 즈음부터는 기저귀를 뗄 수 있도록 조금씩 노력을 해주시는게 좋다고 생각을 합니다. 우리 아이들이 놀이 형식으로 조금씩 기저귀를 뗄 수 있도록 도와주시는게 좋겠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안녕하세요! 25개월 아이가 기저귀를 하고 있으면서 서서 쉬를 하는 경우, 주로 배변 습관이나 기저귀 착용 방식에 관련된 문제일 수 있습니다. 특히 여자아이의 경우, 배뇨에 대한 신체적인 발달이나 습관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니 조금 더 세심하게 관찰할 필요가 있습니다. 아이의 기저귀 착용 상태나 배뇨 습관에서 문제가 생겼다면, 천천히 아이의 발달과 기저귀 착용 상태를 조절하면서 배변 훈련을 시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배변 훈련을 제대로 할 준비가 되었는지 아이가 화장실을 가고 싶어하는지를 살펴보며 적절한 시점에 훈련을 시작해주세요. 아이와 함께 서서 쉬는 연습도 할 수 있고, 변기에 앉는 습관을 유도하는 방법도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이가 아직 준비가 되지 않았다면 기저귀를 계속 착용하면서도 화장실 훈련을 동시에 시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아이의 행동이 개선되도록 도와주시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호기심과 재미로 서서 소변을 보려고 하는 거 같습니다.

    앉아서 쉬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시고, 성공 했을 때는 칭찬과 격려를 많이 해주세요

    아이들은 칭찬을 더 받기 위해서 노력을 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기저귀못떼는아이

    1.반복적교육필요

    2.어떻게하는지방법설명

    3.기저귀떼는건발달의중요과제이므로

    반복적교육으로 잘떼는게중요

  •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아이가 서서 소변을 보는 행동은 화장실 훈련을 시작할 수 있는 좋은 신호입니다.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화장실 훈련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소변이나 대변을 볼 때마다 아이가 변기에 앉아보도록 유도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기저귀가 아이의 체형에 잘 맞지 않거나 제대로 착용되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 특히 허리나 허벅지 부분이 너무 느슨함녀 소변이 새기 쉽습니다. 여자아이의 경우 소변이 기저귀의 앞쪽이나 중간 부분에 고르게 흡수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는 배변 훈련의 신호일 수도 있고, 기저귀 착용 상태가 바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소변 자세와 습관의 문제일 수도 있으므로, 이에 대해 개선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