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매 가격지수를 산정하는 방법은 어떤건가요?
안녕하세요. 아파트 매매 가격지수는 어떻게 산정을 하고 어떻게 보는지도 궁금합니다. 부동산 관련이라 전문가 답변 부탁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특정 지역에서 아파트 거래 가격 변동을 나타내는 수치로 한국 감정원이 제공하는 통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성됩니다. 이 지수는 시간에 따른 아파트 가격 변동률을 파악하는데 큰 도움이 되는데 기본적으로 가장 최근 거래된 가격과 과거 평균 가격을 비교하여 수치화하여 산정합니다.
매매 가격지수 보는 법은 간단합니다. 분기별로 퍼센트가 올라가면 매매가가 올라가 상승장으로 보고 퍼센트가 내려가면 하락장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보통 매매가격지수를 보는 방법은 기준시점을 100으로 두고 현재기준시점과 비교하는 방식으로 판단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쉽게 네이버에 매매가격지수를 쳐보시면 첫페이징 나오는 표가 있습니다.
해당표 상단에 종합 96.2XXX(2021.6=100) '24.09 이렇게 써져 있는데, 여기서 기준시점은 2021년 6월이 되고 해당 시점 주택가격을 100으로 보고, 현 시점은 '24.09 로 24년 9월이 됩니다. 그리고 맨 앞에 96.XXX 라고 하면 100을 기준으로 4P정도 낮기 때문에 이를 해석하면 24년 9월 매매가격은 21년 6월 때보다 4%가량 하락하였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즉 100보다 크면 기준시점보다는 올랐다는 의미, 100보다 낮으면 가격이 떨어졌다는 의미입니다.
매매가격지수는 특정기간 동안의 부동산 또는 자신의 가격변동을 측정하는 지표로 선정시 반영되는 사항은 기초 데이터를 수집하고, 기준연도를 설정하고, 가격변화를 계산합니다.
지수해석은 지수값이 100보다 크면 가격이 상승하였음을 의미하고, 100보다 작으면 하락했음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KB 부동산의 매매가격지수 자료는 월1회, 아파트는 주1회 조사하여 매월 1일 및 매주 금요일 업데이트 됩니다. 주간 시계열의 내용은 한주간의 10가지 데이터 자료를 요약한 요약과 매매증감, 전세증감, 매매지수, 전세지수, 전용면적별 매매, 전용면적별 전세, 매수매도, 매매거래, 전세수급 그리고 전세거래 등의 세부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매매 및 전세 증감도는 상승 0.2단위, 하락 0.1단위로 표시되는데 붉은색일수록 강한 상승, 흰색은 보합, 파란색은 하락을 의미합니다. 매수자 및 매도자 동향 지수는 0~200의 범위로 되어 100을 넘어가면 매수자가 많음을, 100아래로 떨어지면 매도자가 많음을 의미합니다. 매매 및 전세 가격지수는 기준시점을 100으로한 백분율로 현재가격상태를 비교해 볼 수 있게 해줍니다. 매매거래동향은 100을 초과하면 활발함을 100미만이면 한산함을 의미합니다. 전세수급지수는 100을 초과하면 공급부족을 100미만이면 공급과다를 의미합니다. 전세거래지수는 100을초과하면 거래가 활발함을 100미만이면 거래가 한산함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데이터는 약6만7천호에 달하는 표본에 대해 주간 및 월간 자료를 입수한 것을 바탕으로 정리한 것이며 KB에서는 데이터를 기준으로 자료를 분석하여 통계자료를 내고 보도자료를 작성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매매 거래가 되면 30일 이내에 국토교통부에 거래신고를 하게 됩니다
그러면 구청에서 승인이 나면 국토부 실거래사이트에서 조회가 됩니다
실거래가는 그렇게 확인을 하시면 됩니다
호가는 매도인이 부동산에 매매의뢰를 하면 부동산에서 네이버부동산 사이트에 광고를 올립니다
그곳에서 시세정보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 매매 가격지수는 부동산 시장의 가격 변동을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지표로, 주로 한국부동산원에서 발표합니다.
이 지수는 특정 시점의 가격 수준을 기준으로 변동률을 계산해 시장의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매매가격지수가 높다는 것은 가격이 높다는 뜻이고 반대로 낮다는 말은 하락을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