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이상 6천에20살면 언제든 2달전 말하면 복비와 뒷사람 안구하고 이사가는한가요
10년이상 6천에20살면 언제든 2달전 말하면 복비와 뒷사람 안구하고 이사가는한가요
부동산에서 그래서 전세금 구하고있어요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10년 이상 거주했다는 전제는 묵시적 갱신이 되었다는 뜻으로 이해하겠습니다.
묵시적 갱신을 통해 10년 동안 거주했을 때는 임차인은 언제든지 임대차 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해지를 통보하고 3개월 안에 임대인은 보증금을 돌려줘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10년을 살았다해도 만기전 2개월에서 6개월사이에 통보하고 방이 나가면 그날자에 맞춰 다른집을 얻는게 순서입니다
방을 얻었는데 임대인이 돈이 없어서 보증금을 못줄때는 질문자님이 낭패를 볼수 있으니 임대인께 방을 얻어도 되는지 협의를 하시고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임형순 공인중개사입니다.
연속하여 묵시적 갱신으로 거주하고 있다면 임차인은 언제든지 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다만 해지를 통지한 후 3개월이 지나야 효력이 발생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기간과 보증금 금액에 관계없이 계약종료 2개월까지 임차인이 갱신 거절의 의사를 밝히면 임대인은 복비를 부담하고 계약종료일 까지 보증금을 반환해 주어야 합니다. 당연한 수순이지만 아마도 보증금 등 조건이 좋기에 빨라 구하려고 하는 듯 합니다.
중간에 연장할때 아무런 말없이 묵시적으로 갱신이 계속 되었다면 통보 후 3개월 뒤에 나갈 수 있습니다.
계약 연장시 계속해서 별도의 조건등을 협의 했다면 기간을 채워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계약서 특약사항에 그렇게 적혀져 있을 경우 임대인이 협의를 한 사항이라면 가능하겠지만, 만일에 임대인이 바뀌고 또한 공인중개사도 10년뒤 없어지게 되면 어떻게 대응을 하실지도 고민해 볼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묵시적갱신중인 경우 계약해제를 통보한날로부터 3개월후 효력이 발생합니다. 그전에 세입자가 구해지면 더 빨리 나가실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