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대물천사
대물천사

향후 부동산 정책의 변화는 어떻게 바뀔 것인가요?

점점 더 수도권과 지방간의 부동산가격, 대응책이 벌어지고 있는 느낌인데 정부의 정책적인 변화가 있을런지 궁금하네요. 지방의 부동산은 거의 아사직전인 느낌인데 서욼수도권은 가격이 오른다고 하니...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수도권 인구 쏠림으로 수도권은 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하고, 특히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으로 수도권은 바닥을 찍고 상승을 하고 있지만 인구유출이 심한 지방의 경우 공급이 많아서 오히려 미분양으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이러한 양극화는 수도권 쏠림이 해결되지 않을 경우 더욱 심하게 나타날껄로 예상을 하고 국토균형발전이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지 않을까 생각을 합니다. 양극화는 이미 시작을 하였고, 어떻게든 정부에서는 이 인구를 골고루 분산할지를 고민해 봐야 되지 않을까 사료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현재 정부 정책은 규제를 풀고 공급을 늘려서 안정화 시키자는 방식인데, 공급에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데다 건설사들의 상황이 좋지 않아서 신규 인허가물량이 축소되는 상황이고, 정책적으로 다주택자들의 규제를 풀어 부동산 시장을 활성화하려고 하는데 생각처럼 잘 되지 않고 있습니다. 현재의 상황에서는 돈이 몰리는 서울지역의 집값이 상승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고 서울 지역이 상승하고 나면 강북, 수도권 그 다음에 지방으로 투자금이 들어가게 되니 지방은 늦을 수밖에 없고 상승폭도 제한적이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인구감소가 가장문제인데 서울과 수도권은 그래도 인구가 모이는 곳이기 때문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앞으로는 더 차별화가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정부에서는 여러가지 해결책을 내놓고 있기는 하지만 실효성이 있을지는 더두고 봐야 알거 같습니다

    투자를 하실때는 그런부분을 감안해서 투자를 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정부는 지방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인프라 투자, 세제 혜택, 기업 유치 등의 정책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지방 부동산 시장을 회복하려는 노력이 있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향후 부동산 정책의 변화는 공급 증가로 선회할 것 같습니다.

    서울 근교 그린벨트를 풀려고 하고 있고 그에 따른 주택을 공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걸로 봐서 공급을 늘려서 부동산 안정화를 이룰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정책의 안정화는 정부의 매우 중묘한 정책과제라고 봅니다

    부동산 산업은 전산업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대표적 건설분야의 긱종 원윈자료값 인테리어 인건비 주거문제 금리 정부재정 물가지수 등 많은 분야에 영향을미치기 때문에 정부의 정책변화를 통한 안정화 대책은 수시발표되리라 생각합니다

    주거안정은 민생문제로 의식주의 기본이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우선 정부의 입장은 아직은 부동산 활성화 시기가 아니라는 판단으로 더욱더 부동산에 대한 규제완화가 중심적인 입장으로 보입니다. 즉 서울, 수도권내 주택가격이 상승하고 있지만 지방등에는 이러한 효과가 미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아직은 규제보다는 완화 정책을 우위에 두고 있습니다. 그런데 사실 지방 주택가격이 상승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서울, 수도권부터 주택가격이 상승하는게 순서상도 맞습니다. 그렇기에 아직까지는 이러한 효과가 지방까지 지속적으로 이어질지 지켜보는게 맞을 듯 보이고, 현재 정부정책도 이러한 기대를 가지고 추가적인 규제를 하고 있지 않습니다. 다만 서울강남권과 용산권등 현 규제지역내 고가주택 가격상승에 대해서는 일부규제등을 고려는 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