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금 세전? 세후 / 퇴사시 연차 계산 및 지급
질문은 총 두가지 입니다. 내용도 두가지 이구요.
두번째 질문 연차를 위해선 제 상황 설명이 필요한데 해당 내용이 제법 기므로 참고 바랍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퇴직금 계산 기준은 확인헀습니다
최종 급여 기준 3개월 평균 * 기간(1년당 1로 계산.)
여기서 궁금한게 생겼습니다.
질문1. 퇴직금 계신시 최종 3개월 평균 급여는 세전 기준인가요 세후 기준인가요?
예를들어 세전 300이면 3년 근무시 300만 * 3가 되는거고 세후면 270만 * 3가 되는거라..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일단 저는 현재 연차가 매년 17개씩 발생합니다. 또한 제가 근무하는곳은 당직근무를 할 경우
수당이 아닌 당직오프가 발생합니다. 그리고 저는 직무 특성상 연차/당직오프를 소모하기가 힘듭니다.
제 업무 및 연계 업무에 지장 없는 선에서 한달에 3일 정도는 쉴 수 있긴한데
연달아 쉬는건 업무적 문제로 불가능합니다. 즉 하루씩 쉬어야하는거죠.
또한 막상 쉬고 나오면 업무가 쌓여 저 자신만 힘들어집니다. 때문에 한달 평균 고정적으로 1~2회정도 쉽니다.
정기적으로 복용하는 약을 처방받기 위해서거나 집안에 일이 있을때 정도.
당직오프는 사실상 매달 발생하니 고정적으로 1~2회 쉬는것도 연차보다는 당직 오프를 먼저 사용합니다.
휴가따위는 가본적도 없구요.
일단 제가 일하는 회사는 연차수당따위는 없습니다. 제가 알기론 저만 없는게 아니고 다 없어요.
애초에 다른 직원들은 연차가 남는 경우가 그다지 많지도 않고 남아도 다섯개 미만으로 남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기도 하구요.
다만 제 경우에는 아예 입사하고 반년이 지났을때 관련 부서에서 업무적 특성에 의해서 연차를 쉬이 사용할 수 없는 사정을 참작하여 연차가 많이 누적되어도 소멸 없이 유지해준다 라고 답을 받았고 이를 녹취까지 해뒀습니다.
(애초에 제 전임자들도 저처럼 연차사용을 거의 못했다더군요)
쉽게 말해 퇴사하기 전까지는 수십개든 쌓아둘 수 있단 말이죠. 실제로 저에게는 연차 계획서라거나 이런걸 요구한적도 없구요.
또한 저는 제 연차 발생 시점. 사용한 날짜등을 엑셀로 정리해서 보관하고 있고
혹시나 해서 몇달전 제 연차가 몇개나 되는지 확인하고 싶다고 확인 요청해서 제가 알고 있는 갯수와 연차 갯수가 동일한거까지 확인 받고 이에 대한 녹취도 해뒀습니다.
여기서 질문입니다.
질문2. 현재 제 연차 갯수는 사실상 두달을 풀로 내리 쉬어도 문제가 없는 상황입니다.
퇴사시에 이 연차를 돈으로 받을 수 있을까요?
질문3. 아니면 아예 퇴사 신고 시점을 연차가 끝나는 시점으로 하고 그 기간동안에 발생한 급여를 받을 수 있을까요?
(일단 제가 즉시 취업하지 않는다는 조건하에 예를 들어 24년 12월에 퇴사 신청을 하고 신규 근무자를 구해서 인수인계를 진행하여 최종 퇴사는 25년 1월 말일이라고 할 경우 위에서 언급한 2달짜리 연차를 적용해서 실제 퇴사 신고는 25년 3월 말에 진행되고 연차로 때워진 2월/3월의 급여를 받을 수 있는가 라는 거죠. 일종의 유급휴가라고 해야하나..)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
답변 가능한 내용먼저 드리자면
퇴직금은 세전 급여를 기준으로 산정하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되세요.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퇴직금 산정은 세전 금액 기준으로 하고 퇴직소득세를 공제합니다. 연차는 퇴사 전에 전부 사용해도 되고 수당으로 받아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세전 급여를 기준으로 산정합니다.
미사용 연차에 대해서는 근로자 퇴사시 회사에서 의무적으로 수당지급을 해줘야 합니다.
질문자님이 선택하실 문제입니다. 퇴사후 수당으로 받아도 되고 소진하고 퇴사하는것도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