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무역

재빠른들소8
재빠른들소8

중국이 보유중인 미국채를 매각한다고 합니다. 이럴경우

안녕하세요. 요즘 전세계가 관세 전쟁중인데요, 특히 힘겨루기 중인 미국과 중국의

사이가 엄청 나빠지고 있는데요, 중국이 미국채를 매각 할 경우

우리나라 환율과 금리는 어떻게 될까요 ? 문의 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중국이 대규모 미국 국채를 매각할 경우 원달러 환율 상승과 국내 금리 변동성 확대가 예상됩니다. 중국의 매각으로 미국 국채 가격이 하락하면 달러 유동성 급증과 신흥국 자본 유출 압력이 커지며, 이는 원화 약세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한국의 대미 수출 비중(18.7%)이 높아 환율 급등 시 기업의 환차손 위험과 수입물가 상승이 우려됩니다.

    국내 금리는 미국 금리 상승에 따른 글로벌 자본 이동의 영향을 받습니다. 중국의 매각으로 미 국채 금리가 오르면 미국과의 금리 격차 확대가 예상되며, 이는 외국인 자본 유출과 국내 금리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한국은행의 외환보유고(4200억 달러)와 통화스와프 협정이 단기적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중국이 보유한 미국 국채를 대규모로 매각하면 국제 금융 시장에 상당한 파급 효과를 미칠 수 있으며, 이는 한국의 환율과 금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첫째, 중국의 미국 국채 매각은 미국 국채 가격의 하락과 이에 따른 수익률 상승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는 미국의 차입 비용을 증가시키고, 글로벌 금융 시장의 변동성을 높여 투자자들의 위험 회피 성향을 강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안전자산으로 간주되는 달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여 달러 강세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원/달러 환율 상승(원화 가치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둘째, 원화 가치의 하락은 수입 물가 상승을 통해 국내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를 억제하기 위해 한국은행은 기준금리 인상을 고려할 수 있지만, 현재와 같이 경기 침체 우려가 있는 상황에서는 금리 인상이 경제 회복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한국은행은 금리 정책에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며, 경제 상황에 따라 금리 인하를 통해 경기 부양을 시도할 수도 있습니다. ​

    종합하면, 중국의 미국 국채 매각은 한국의 환율과 금리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의 통화 및 재정 당국은 시장 안정과 경제 성장을 동시에 고려한 정책 대응이 요구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미국의 관세부과에 따라 중국에서 미국채 매각 카드를 꺼낼 수 있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습니다.

    다만, 미국채 매각에 따른 국내 환율 등의 상황은 다른 상황에 따라서도 변동될 수 있기 때문에 모니터링이 필요할 거승로 보이며, 일반적으로는 금리가 전반적으로 상승압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여집니다.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v.daum.net/v/20250409070307807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