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무서운범고래2
무서운범고래2
4일 전

소의 위장은 흡수율이 높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소는 음식을 먹으면 한번에 소화를 시키는 것이 아니라 위에 있는 음식을 다시 입으로 보내 씹어 되새김질을 한뒤 소화를 한다고 하는데요 위가 약해서 그런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전상훈 박사blue-check
    전상훈 박사
    을지대학교
    4일 전
    학문

    안녕하세요.

    소는 반추동물로 분류되며, 이들의 소화 시스템은 매우 독특하고 복잡합니다. 소의 위는 한 개가 아닌 네 개의 다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각각 반추위(rumen), 요람위(reticulum), 견위(omasum), 참위(abomasum)로 구성됩니다. 이러한 구조는 소가 섭취하는 식물성 물질, 특히 섬유질이 많은 사료를 효율적으로 분해하고 소화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소가 사료를 섭취한 후, 처음으로 반추위와 요람위로 이동합니다. 여기서 미생물에 의해 사료가 분해되기 시작합니다. 이 미생물은 섬유소를 분해하여 소화가 가능한 형태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초기에 빠르게 삼킨 음식은 부분적으로만 소화되며, 이후 소는 이 음식을 다시 입으로 가져와 되새김질을 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음식물은 더욱 잘게 쪼개지고, 미생물이 더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됩니다.
    되새김질을 통해 잘게 쪼개진 음식은 다시 반추위로 돌아가 더욱 분해됩니다. 그 후, 음식물은 견위로 이동하여 물과 다른 불필요한 물질들이 흡수되지, 마지막으로 참위로 넘어갑니다. 참위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일반적인 포유류의 위와 유사하며, 여기서 음식은 산에 의해 최종적으로 소화됩니다. 참위에서의 소화 과정은 단백질 분해 등을 포함하여 최종적인 영양소 흡수가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소의 소화 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농업과 수의학 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집니다. 이와 관련된 저널을 추천드리자면 Journal of Dairy Science와 같은 곳을 추천드립니다.

    1명 평가
  • 소는 4개의 위로 이루어져 있으며, 첫 번째 위에서 음식물을 대충 씹어 삼킨 후 다시 입으로 되돌려 씹는 되새김질을 합니다. 이는 소화를 돕는 미생물이 살고 있는 위에서 음식물과 침을 섞어 발효시키는 과정을 거친 후 잘게 부수고 소화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러한 되새김질은 소가 건강하게 소화하는 데 필요한 과정이며, 위가 약해서 그런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위가 약한 소는 되새김질을 제대로 하지 못하거나 소화 불량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무열 수의사입니다.

    소, 염소 등 반추동물이라고 하여, 사람이나 다른 육식,잡식동물과 달리 건초나 풀을 주식으로 하고 있습니다. 풀의 대부분은 섬유질로 이루어져 있어, 대부분의 동물의 소화기관은 이를 제대로 소화시킬 수 없지만, 소의 경우는 독특한 위를 가지고 있어 오히려 이 풀을 먹어야 살 수 있게 끔 소화기관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소는 위가 네 곳으로 구분됩니다. 그 중에서도 다른 동물에게서 '위'라고 할 수 있는 부위는 마지막 샘위 하나뿐이고, 나머지 위는 위보다는 변형된 식도에 가까운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샘위를 제외한 위는 내부가 매우 단단하고 질기면서, 동시에 풀을 분해하는 미생물이 많이 생존하고 있습니다. 즉, 소가 풀을 뜯어서 처음으로 삼킨 뒤엔 이 변형된, 소만 가지고 있는 위에서 이를 분해해 소가 흡수할 수 있는 영양소로 바꿉니다. 이 과정에서 다량의 가스가 발생하는데, 이 가스성분 중 일부는 소의 소화기관에 확산되어 소의 혈류로 들어가 영양소가 됩니다.

    가스 외에도 위에서 발효된 풀의 대부분은 위로 바로 넘어가지 않고, 다시 역류해서 소가 뱉어내게 되는데, 이 과정을 '반추'라고 합니다. 이 때문에 소를 반추동물에 속한 동물이라고 말합니다. 뱉어낸 풀 중 소화할 수 있는 부드러운 죽상 형태나 액상 형태는 다시 소가 삼기게 되는데, 비로소 다시 삼킨 물질은 샘위를 지나 장으로 간 뒤 변으로 배출되게 됩니다.

    즉, 소의 독특한 소화구조 때문에 소는 처음부터 가공이 잘 되어 있는 대부분 동물이 섭취할 수 있는 음식을 과량 섭취해서는 안됩니다. 흔히 보이는 애완동물용 사료나 간식에는 이 때문에 '반추동물에게는 급이하지 마십시오.' 라는 경고문구가 붙어있는 이유지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위가 약하다기보다는 주로 섭취하는 음식물이 너무 질기기때문입니다.

    특히 주로 식물과같은 섬유질이 가득한 음식을 섭취하기때문에

    이 섬유질을 잘게 쪼개기 위해서는 물리적, 화학적인 작용이 계속해서 일어나야하죠

    이러한 작용이 충분히 일어날수있도록 소화기관을 길게만들고

    복잡하게만들어 오랜시간 소화하도록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되새김질도 이렇게 오랜시간 소화를 하기위한 행동입니다.

    감사합니다.

  • 소가 되새김질을 하는 이유는 위가 약해서가 아니라, 식물성 섬유질이 많은 먹이를 효율적으로 소화하고 영양분을 최대한 흡수하기 위해서입니다. 소의 위는 네 개의 방(반추위, 벌집위, 처녀위, 주름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미생물 발효를 통해 섬유질을 분해하고 소화율을 높입니다. 이러한 과정 덕분에 소는 거친 식물도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단위위 동물보다 높은 소화 및 흡수 능력을 가집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소가 되새김질 하는 이유는 되새김질을 통해 풀을 섞고 미생물이 분해하기 쉽게 만들기 위해서입니다. 소의 위에는 미생물이 존재하기 때문에 식물의 섬유소를 분해해 소화시킬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