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잠을 거부하기 시작한 아기는 어떻게 다시 패턴을 잡아줘야 할까요?
에너지가 넘치는건지 무슨 영문인지 갑작스럽게 낮잠을 안자고 잠을 이겨냅니다. 안아주고 토닥여보아도 도통 효과가 없다면 아기에게 어떻게 해주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아기의 수면은 성장과정에서 중요하기 때문에 매일 일정한 시간에 잠을 잘수 있도록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낮잠을 거부할때는 잠이 오지 않거나 더 놀고 싶은 마음 때문에 그럴수 있습니다. 아기가 잠을 잘수 있게 이부자리를 먼저 준비해놓고 애착인형이나 담요를 주며 자는 시간임을 말해주는 것도 좋습니다. 또한 한두권의 책을 읽어주고 낮잠을 잘수 있도록 방안을 어둡게 한후 조용한 음악을 틀어놓고 아이가 잠이 들때까지 부모님께서 함께 누워 등을 토닥토닥 두드려 주어도 좋습니다.
에너지가 넘치는 아이/낮잠을 거부하기 시작한 아이를 어떻게 수면 패턴을 잡아줘야 하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매일 일정한 장소에서 일정한 시간이 되면 잘 준비를 하십시오.
잠을 자려고 누워서는 책을 한권 읽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모든 준비가 다 되었다면 집안에 있는 모든 전등을 소등하고 암막커튼 등을 이용해서 빛을 차단하는게 수면을 취하는데 효과적입니다.
그리고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휴대폰, 태블릿과 같은 기기는 다른 곳에 두는 것이 좋겠습니다.
매일 반복하다보면 아이도 익숙해질 것입니다.
잠자는 방의 실내 온도(20~22℃) 및 습도(50~60%)를 유지하는 것이 좋고,
방 안의 산소 공급을 위해서 공기청정기를 틀어 놓는 것도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갑자기 낮잠을 거부하고 잠을 이겨내려 한다면, 이는 발달 단계에서 자연스러운 현상일 수 있습니다. 에너지가 넘치는 아기들은 새로운 능력을 배우면서 더 활동적이 되고, 이로 인해 낮잠을 거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먼저, 낮잠 시간을 다소 유연하게 조정해 보세요. 예를 들어, 아기가 너무 졸려하지 않다면 낮잠 시간을 조금 늦추거나 짧게 가져가 보는 것도 방법입니다. 또한, 아침이나 낮 시간에 충분히 에너지를 발산할 수 있는 놀이 활동을 해 주는 것도 좋습니다. 실내에서 활동하기 힘들다면, 간단한 신체 놀이를 통해 아이가 에너지를 소진하도록 돕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그리고 잠자리로 안내할 때, 조용하고 어둡게 만든 환경에서 아이를 안아주거나 조용한 음악을 틀어 주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아기가 너무 피곤해지면 오히려 잠들기 어려울 수 있으니, 졸음 신호가 보이면 서둘러 잠자리로 인도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낮잠을 거부한다면 잠이 안 와서, 더 놀이를 하고자 하는 욕구 심리가 강해서 입니다.
아이가 낮잠을 안자고 이겨 낸다면 억지로 낮잠을 재우려고 하지는 마세요.
억지로 낮잠을 재우려고 하면 부모님도 아이도 스트레스를 받기 때문에 차라리 그 시간대에 이불 자리를 펴주고 아이를 눕힌 후 휴식을 취하는 시간을 가지도록 해주세요.
그 대신 밤잠을 조금 일찍 재워 아이의 수면을 도와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태어난지 얼마 되지 않은 아기들은 하루 16시간에서 20시간 정도 잠을 자게 됩니다 불편 곳이 있거나 불편한 점이
있다면 아이가 쉽게 잠에 들지 못하기도 합니다 주위를 조용히 해주고 아이가 잠을 잘 잘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세요 아기가 아파 열이 나거나 해도 쉽게 잠을 이루지 못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낮잠 시간을 너무 길게 늘리기보다는 피로가 누적되기 전에 짧게 쉬도록 하여 잠에 대한 부담을 줄이도록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규칙적인 수면루틴을 만들어 아기가 매일 비슷한 시간에 자도록 유도합니다. 낮잠 전 조용하고 어두운 환경을 조성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어떠한 패턴을 가지고 있거나 잠을 잘 자다가도 말씀하신바와 같이 낮잠을 거부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이 경우에는 아이들의 성장에 따라서 패턴이 바뀔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부모님께서 다시 아이가 낮잠을 잘 수 있도록 해주시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아이들의 패턴이 흔들릴 수 있지만 아이들의 패턴은 부모님이 하기 나름이라고 생각을 하니 참고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보통 낮잠을 거부하는 아기에게 다시 낮잠 패턴을 잡아주는 방법은 매일 같은 시간에 낮잠을 자도록 일관된 루틴을 설정합니다. 아기가 낮잠을 잘 시간 전에 조용한 활동을 하며 마음을 가라앉힐 수 있도록 해주세요. 아기가 편안하게 잘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세요. 방의 조명을 어둡게 하고, 소음을 줄이며, 아기에게 친숙한 담요나 인형을 함께 제공해 안정감을 줍니다. 그리고나서 낮잠 시간이 가까워지면 아기에게 낮잠 신호를 주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이제 낮잠 시간이야"라고 말하면서 부드러운 음악이나 백색소음을 틀어주는 것도 좋습니다.낮잠 전에 에너지를 소모할 수 있도록 아기와 함께 신체 활동을 해보세요. 놀이나 산책 등을 통해 피로감을 주면 자연스럽게 졸리게 될 수 있습니다.아기가 낮잠을 거부할 경우, 잠자리에서 조금씩 시간을 늘려가며 다독이거나 안아주는 방법을 사용하세요.
또 너무 오랜 시간 안아주기보다는 조금씩 시간을 늘리면서 스스로 잠드는 방법을 배우도록 유도합니다.
낮잠 시간이 가까워지면 TV나 스크린 사용을 줄이고, 자극적인 활동을 피하도록 합니다. 조용한 독서나 부드러운 음악을 듣게 해주세요. 아기가 잘 자면 칭찬해주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세요. 이는 아기가 낮잠을 잘 자는 것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보통 이런 방법들을 통해 아기가 다시 낮잠을 잘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 인내심을 가지고 꾸준히 시도해 보세요! 그러다보면 아이의 낮잠 패턴이 다시 좋아질 것입니다~
저의 답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성장하면서 낮잠이 줄어들거나 없어 질 수 있습니다.
억지로 낮잠을 재우는 것도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최대한 낮잠을 위한 환경을 조성해 주고, 낮잠을 자지 않으려고 할 때는 건너뛰어도 무방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수면 신호를 파악하세요. 아기가 피곤한 신호를 놓치면 피로가 지나쳐 잠들기 어려워 질 수 있습니다. 눈 비비기, 하품, 짜증 내기 같은 피곤한 신호를 주의 깊게 관찰하세요.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기 수면 변화의 원인을 이해하세요. 새로운 능력을 배우는 시기에는 뇌가 흥분 상태에 있어 잠들기 어려워할 수 있습니다. 잠시라도 부모와 떨어지는 것을 거부하는 시기가 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