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양육·훈육

눈에띄게딱딱한라임나무
눈에띄게딱딱한라임나무

아이가 나중에 독립을 한다고 하면 어떻게 해야하죠?

지금 7살 10살 아이를 키우고 있습니다. 이 아이들이 나중에 커서 독립을 해서 자취를 하고 싶다고 한다면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다 남자아이들인데 집에 없다면 시원섭섭할거 같거든요. 그리고 스스로 아르바이트해서 돈을 번다는데 이게 가능할지도 모르겠고 부모가 돈을 더 내야할수도 있어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7살, 10살 아이들이 나중에 독립을 원한다면, 지금부터 자립심과 책임감을 키우는게 중요합니다. 가사일 돕기, 용돈 관리, 간단한 요리 같은 경험을 점차 늘려주세요. 아르바이트는 10대 후반부터 가능하고, 법적 제한과 학업 우선도 고려해야 하니 무리하지 않게 지원하는게 좋습니다

  • 아이들이 커서 독립을 하고 싶다고 한다면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걱정과 서운함, 자랑스러움 등 여러가지 감정이 뒤섞이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이 시기는 아이가 자신의 삶을 주도하며 성장해 나가는 중요한 전환점이기도 합니다.

    부모로써 아이의 말을 경청하고 존중합니다.

    감정을 솔직하게 공유하고 실질적인 준비를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현실적인 조언 제공, 실수와 경험을 허락하기 등

    그리고 부모-자녀의 관계도 새롭게 재정립 할 필요도 있습니다.

    '네가 필요할 때 언제든 나에게 이야기해줘~'와 같은 말은 아이에게 큰 힘이 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이 성장해 독립을 원할 때 부모로서 느끼는 시원섭섭한 감정은 매우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7살, 10살 남자아이들이 미래에 자취를 하거나 아르바이트로 경제적 자립을 시도한다면 부모는 자녀가 책임감 있게 독립할 수 있도록 점진적으로 준비시켜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먼저 어릴 때부터 집안일이나 자기 관리, 용돈 사용 등 작은 일에서부터 스스로 결정하고 책임지는 경험을 쌓게 해주세요.

    아르바이트는 만 15세 이상부터 가능하며 학생 신분에서는 시간과 건강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경험해보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녀가 경제적으로 완전히 독립하기 전까지는 부모의 지원이 필요할 수 있지만 점차적으로 도움의 범위를 줄이며 자립심을 키워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무엇보다도 자녀의 독립을 긍정적으로 응원하고 어려움이 있을 때는 언제든지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신뢰를 심어주는 것이 아이들에게 큰 힘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독립은 감정적인 문제가 아니라 실질적인 현실에 대해서 함께 준비하면서 도와주셔야 합니다.

    지금 부터 경제 감각과 책임감을 키워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원 섭섭한 부분은 자연스러운 감정이며, 아이도 성인이 되어서 독립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고, 응원해줘야 합니다.

    구체적으로 도와 줄 부분에 대해서 자주 이야기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독립을 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너무 아이로 보지마시고 성인으로 생각하시고 독립을 응원하세요

  • 안녕하세요.

    조금 나중의 일이기는 하지만, 나중에 아이가 독립하고 싶다고 말할 때는 그 의지를 존중해 주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독립은 아이가 책임감과 자율성을 배우는 좋은 기회이지만, 준비되지 않으면 어려움도 많습니다. 먼저 왜 독립하고 싶은지, 그리고 어떻게 준비하고 있는지 대화를 충분히 나눠 보는 게 필요합니다. 그리고 자취에 필요한 생활 기술(요리, 청소, 예산 관리 등)을 함께 익히는 시간을 가지는 게 필요합니다. 초기에는 보호자의 일정한 지원이 필요할 수 있으나, 금전 지원은 명확한 기준과 약속을 세우는 게 좋습니다.

    아이가 보호자의 빈자리를 느끼면서 성장하고, 또 독립을 연습할 기회도 됩니다. 섭섭한 마음도 있겠지만, 그래도 잘 해낼 수 있겠다는 믿음으로 응원해 주는 게 든든한 지원이 될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