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근육통과 crps 차이점, 진단 받거나 검사 가능하려면 어디 과로 가야해요?
과거 류마티스 내과에서 섬유근육통 진단을 받고 약 복용 및 치료를 꽤 오래 했습니다.
약 때문인지 모르겠으나 진단 받을 당시보다는 통증이 약해진 상태, 웬만한 통증은 일상이다 됐다보니 약을 끊은지 오래 됐습니다. (심한 경우 진통제 복용만 합니다.)
헌데 2년 전 발목 인대 재건술을 받고 난후 신경 유착,통증, 부종 등 여러 이유로 현재까지 치료중이고 지금은 수술을 고려중인 시점에서..
1년 반 남짓의 시간을 계속 지켜본 주치의 쌤이 발목 문제도 맞지만 제가 crps 환자 같다고 몇 번이나 말씀하십니다.
이전에는 주의깊게 듣지 않았는데 2년 가까이 발목으로 인해 일을 못하다 보니 이젠 그냥 지나칠 수가 없어서요.
하여 여쭙니다.
과거 진단 받은 섬유근육통과 현재 의심 소견인 crps 질환의 차이점
섬유근육통이든 crps 이든 제대로 검사 받고 진단 받으려면 어디 과로 가야할까요?
섬유근육통 환자가 수술후 crps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섬유근육통은 전신의 만성 통증과 CRPS는 외상 후 특정 부위의 심한 통증과 자율신경 변화가 특징입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통증의학과 신경과에서 모두 평가 가능합니다. 섬유근육통 환자도 수술 후 발생 가능성이 있어 통증 민감성이나 신경 이상이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섬유근육통은 전신적인 근육통과함께 피로가 나타나는게 특징인 질환인데요 CRPS는 주로 외상이나 수술후에 특정부분에 생기는 심한통증이나 부종, 피부변화등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약간의 차이점이있지만 정확한 진단을받기위해서는 병원에서 검사를받아보는것이 좋은데요
가까운 종합병원으로 방문해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1. 섬유근육통과 crps는 발병원인에 대한 차이가 있는데요, crps는 신경손상이나 외상에 의해 발생하지만 섬유근육통은 명확한 원인이 없고, 통증의 범위도 crps는 한쪽 사지에 국한되는 방면 섬유근육통은 전신에 발생하는 것이 주된 증상입니다.
2. Cprs의 경우, 통증의학과나 신경외과, 재활의학과등의 여러 진료과 협진이 필요한데요, 상급 의료기관의 희귀질환센터에서도 진료를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3. 네, 수술로 인한 신경의 손상이 있는 경우에 crps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섬유근육통과 CRPS 복합부위통증 증후군은 서로 다른 질환이며 차이점으로는 섬유근육통은 정확한 원인이 불명이지만 복합부위통증 증후군은 외상 수술 골절 신경 손상등 이후 발생합니다.
또한 섬유근육통은 발생부위가 전신이라면 복합부위통증 증후군은 특정부위이며 타는 듯한 통증 및 찌르는 느낌 가벼운 접촉에도 극심한 통증 및 부종 피부색의 변화 피부온도차이 및 근육 위축등 자율신경의이상을 동반하지만 섬유근육통은 만성적인 둔통으로 피로감을 동반하고 수면장애 및 우울감 집중력 저하를 나타내는게 특징입니다.
복합부위통증 증후군 같은 경우 통증의학과 혹은 신경과 재활의학과 정형외과등의 병원에서 진단 및 치료가 가능합니다.
또한 섬유근육통 환자가 수술 이후에 복합부위통증 증후군이 생길 수 있으며 섬유근육통 자체가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을 유발하는 건 아니지만 통증 민감성이 높은 체질에서 신경 손상이나 수술 후 회복이 원활하지 않으면 CRPS로 진행될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