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가 경증 발달장애를 가진 자녀를 겉으로만 보고 멀쩡하다고 주장해서 위험을 인지하지 못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경증 발달장애인들이라면 겉으로 멀쩡해서 속으로 배움이 느리거나 농담이나 혐오표현을 이해하지 못하는 지적장애인이나 자폐성장애인들이라고 생각하잖아요.
특히 아스퍼거증후군들은 사회성을 빼고 비장애인들이 못하는 특정분야도 몰입을 해서라도 거뜬히 연구하고 해결하는 자폐성장애인이죠.
지적장애인의 경우 약한 증세인데 사회적으로 고집이 세고 매사에 호기심이 많죠.
하지만 부모들이 경증 발달장애인 자녀들에 겉으로만 보고 멀쩡하다고 말로 해놓고 잘 하는 점을 핑계로 현장이나 직장에 내보내놓고 편히 잘 할수 있다고 말을 한 다음 마음을 놓는대요.
하지만 경증 발달장애인들이 중증 발달장애인들과 달리 겉모습으로는 비장애인 같아도 속으로는 발달장애가 있어서 위험을 인식하지 못하니까 불량배들이 갑질을 하거나 위험한 일을 이용할 수도 있다는 위험을 인지하지 못하는데요.
그렇다면 부모가 경증 발달장애인 자녀를 이해하지 못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주영 사회복지사입니다.
대부분의 부모의 경우 자식이 자폐 등을 앓고 있다는 사실을 부정하는 태도가
우선되어 인정하려 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와 같은 경우 전문가와 상담을 통해
정확한 진료와 진단이 우선되어야 아이의 성장에 있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사회복지사입니다.
부모님들은 우리 아이가 장애를 가졌다 라는 것에 대한 인정을 하지 않는 큰 이유는
우리 아이가 장애가 있다 라는 현실을 받아들이기 힘들기 때문 입니다.
그렇기에 일반 아이가 같다 라는 생각을 가지고 아이들을 일반 아이와 똑같이 교육을 하고 아이의 행동을
지도 하려는 경향이 큰데요.
중요한 것은 아이의 장애 여부를 받아들이는 시간을 충분히 가지고 우리 아이가 장애를 가졌다 라고 생각을
하긴 보다는 남보다 조금은 특별한 아이라 생각을 하고 아이의 교육 및 행동지도를 아이의 수준에 맞춰
진행을 해주는 것이 부모와 아이에게 좋은 도움이 되어질 수 있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배수민 사회복지사입니다.
아무래도 내 자녀가 장애를 가지고 있다는것을 인정하기 싫은것이죠.
어느 부모라도 같은 미음일 겁니다.
다만, 인정하고 그에 맞게 대처하느냐 못하느냐의 차이고요.
특히 경증이면 더 그렇지요.
장애의 인식이 옛날에 비해 좋아졌다고는 하나 그래도 부정적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있기때문에라도 인정하기 싫을것입니다.
타인의 입장에서야 판단이 쉽지만 부모마음이라는게 그렇지가 않거든요..
1명 평가부모가 경증발달 장애인 경우 자녀가 발달장애를 가질 가능성은 유전적인 요인에 따라 다를 수 있다고 합니다.
반드시 유전되는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발달장애의 원인으로 특정 유전자 변이, 뇌발달 과정의 차이, 환경적 요인 등이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원인을 찾는 것보다는 자녀의 현재 상태에 맞는 지원과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런 것이 사회복지 분야에서 해야 할 영역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경태 사회복지사입니다.
주변환경이 구체적인 경증 발달장애에 대한 지원이 제대로 되지 않다보니 부모들 입장에서는 비장애 상태가 되겠지라는 헛됫 상상에 의해서 위험을 인지하지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정부의 각종 발달장애 정책에서 경증 발달장애에 대한 지원정책이 대단히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보편적인 발달장애 지원정책도 상당수는 중증 발달장애 중심 정책에서 가까운 편이며, 심지어 욕구조차 중증 발달장애 부모 집단의 압력에 의하여 욕구 기반 정책이 수립되는 편입니다 그리고 경증 발달장애는 그야마로 소외된 그룹 중에 하나이며, 발달장애 지원정책 몇몇 조항은 경증발달 장애에는 적용되지 않거나, 수요가 낮은 문제가 있다보니 부모들조차 그런 환경에 영향을 받아서 경증발달장애 문제를 발달장애의 구조적 특성에 의한 문제라는 현실적 어려움을 무시하고 어떻게 해보면 비장애 상태가 되겠지라는 헛된 상상에 빠져 그야말로 사이비 치료 등 잘못된 방식의 해결에 대한 유혹에 빠지는 문제가 있을 정도입니다. 따라서 경증 발달장애에 대한 복지정책을 구체화하고 부모 역시 경증 발달장애의 아동에 대한 관심을 갖고 지원이 될 수 있도록 함께 교육을 해야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신나래 사회복지사입니다.
부모가 경증발달장애를 가진 자녀를 겉모습만 보고 멀쩡하다고 주장하는것은 아마도 내자녀는 장애인임을 인정하기싫어서 그런것같습니다.
아무래도 현실은 장애인이 살아가기에 아직까진 사회적인식이 좋지않다보니 경증 발달장애는 부모입장에서는 이정도면 멀쩡한거 아닐까? 라는 생각에 마음속에 세뇌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