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와 학교에서 놀이 중에 의견 차이로 다툼이 생겼는데, 선생님께 어떻게 말씀드려야 할까요?
초등학교 3학년 딸아이의 기분이 좋지 않은 것 같아서 이유를 물어보니 친구와 조금 다툰 것 같더라구요. 이유를 물어보니 쉬는 시간에 친구들과 보드게임 놀이를 하던 중 게임 규칙에 대한 의견 차이로 다툼이 생겼는데, 선생님께 어떻게 해결해달라고 부탁하는 것이 좋을까요?
아이가 학교에서 의견차이로 인해 친구와 다퉈서 많이 속상했겠습니다.
아이의 속상함을 풀어주고 싶은 마음이 크겠지만
아이가 스스로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 나갈 수 있을지 함께 고민해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ㅇㅇ랑 다퉜는데, 어떻게 했으면 좋겠어? 어떻게 하고 싶니?'
'혹시 엄마(아빠) 도움이 필요하면 말해줘~'
이 정도로 말하고 아이가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응원하고 지지해주면 좋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친구와의 갈등 상황에서는 서로의 감정을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고 공감합니다.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합니다.
서로의 의견을 조율하여 합의점을 찾습니다.
앞으로의 행동 계획을 세우고 실천합니다.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를 양육한다는 것은 참 어렵습니다. 댁의 딸도 소중하지만, 다툰 친구도 그 부모에게는 소중하기에 서로 양보하며 기분 상하지 않게 해결하는 것이 좋을 꺼 같습니다.
딸이 친구와 게임 규칙으로 다툰 상황에서는, 선생님께 공정한 중재를 요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선생님께 "아이들이 게임 규칙을 두고 의견 차이가 있었는데, 함께 규칙을 정리하고 공정하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라고 부탁해보세요. 이를 통해 아이들이 협력하여 규칙을 재정립하고, 갈등을 해결하는 방법을 배우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이런 접근은 아이들의 관계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들이 게임로 인해서 싸움이 발생 했다면 아이들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우리 아이에게 친구와 나와의 생각은 다를 수 있음을 인지시켜 주는 것도 좋을 것 같구요.
더나아가 인성교육을 시켜주어 친구를 배려하고, 존중하고, 친구의 마음을 이해하고, 친구의 감정을 공감하면서 놀이를 하고 사이좋게 지낼 수 있도록 지도를 해주면 좋을 것 같네요.
담임선생님의 상담은 아이들의 싸움이 큰 싸움으로 번질 때 예를 들면 왕따, 학교폭력이 생겼다면 그때는 담임 선생님의 상담을 통하여 부탁드리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친구와 사귀다 보면 많은 이유로 싸울 겁니다. 이런 룰에 대해서 의견이 맞지 않아서 싸우는 경우도 많을 겁니다. 이 경우에는 게임에 적힌 룰을 보면서 확실하게 누군가에 의해서 판정이 날 수 있는게 좋겠습니다. 팩트만 보고 팩트로 판정을 해주셔야 아이들의 감정이 상하지 않을것 같습니다. 해석에 따라서 룰이 바뀌진 않으니 이렇게 해주시는게 오해 없이 끝날 수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싸움이 빈번하게 발생하거나, 심각한 싸움이 아니면
친구들끼리 스스로 해결하게 끔 유도하는 방법도 좋을 것 같습니다.
게임의 룰을 서로 다르게 알고 있다면 한판씩 룰을 다르게 적용해서 게임을 하던지
게임을 하는 다른 친구들의 다수결의 원칙으로 정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만약 스스로 해결을 하려고 했지만 효과가 어려울 경우 선생님의 도움이 필요할 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가능한 보호자가 말하는 것보다는 아이가 직접 말하는 쪽이 좋습니다.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힘을 키우기 위해서라도요. 먼저 본인이 친구에게 얘기해서 속상한 점을 말해보고 그래도 갈등이 해결되지 않으면 본인이 직접 이야기하여 중재를 요청해 보도록 하세요.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아이들의 힘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우선 지도해주세요. 무조건 다툼이 일어났을 때 선생님의 힘을 빌려서 해결하게 되면 아이들이 아이들이 친구 관계를 관리하다 능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잘못한 부분에 대해서 먼저 사과해보라고 하는게 어떨까요.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우선 아이와 대화를 해보시고 어떤 문제가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그리고 아이에게 잘못이 있다면 친구에게 사과하도록 시키고 친구의 잘못이라면 담임선생님께 자초지종을 말하고 어떻게 하면 좋을지 상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