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락이라는 것은 왜 생기는 걸까요?
배당주를 살펴보니 배당락이라는 것이 있던데,
배당수익률 만큼 주가가 빠지는 현상이라고 보았습니다.
그런데 배당은 해당 회사가 영업이익이 난 것을 주는 건데 왜 배당 수익이 난만큼 주가가 빠지는 건지 궁금합니다.
결국 배당주는 자신의 살을 깎아서 배당을 준다는 의미로 보이는데 아닌건가요?
배당락이라는 것을 어떻게 이해해야할까요?
이해를 잘 시켜주실 분 계신가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배당락이라는 것은 배당을 지급하는 기업이 배당금을 지급할 때 배당받을 권리를 가진 주주의 수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 설정한 날짜입니다.
배당락일 전일까지는 배당금을 받고자하는 투자자들이 투자를 하면서 매수가 몰리게 되어 가격이 상승합니다.
배당락일 후에는 배당금을 지급받은 투자자들이 주식을 보유할 이유가 없어지기 때문에 가격이 하락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배당금은 회사 이익을 주주에게 현금으로 나눠주는 것인데 회사 자산이 줄어들어 주식 내재 가치도 배당만큼 감소합니다. 예를 들어 배당금 1,000원을 주는 주식이라면 배당락일에 주가는 1,000원 하락해 시작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 현상은 배당금이 기존 주가에 포함되어 있다가, 배당금 지급 후 그 가치가 주가에서 빠져나가면서 발생합니다. 따라서 배당주는 "살을 깎아" 배당을 주는 것보다는 회사 이익을 배당으로 나눠주는 것입니다. 주가 하락은 자연스러운 가치 조정으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배당락이 생기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배당락이 생기는 것은 주가에서 배당이 나간 만큼 빠지기 때문에
배당락이 생기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해당 기업의 이익잉여금에서
주주들에게 배당금을 지급하는 등 합니다.
이에 회사의 자산이 빠져나가기에 이에 따라서
그만큼 배당락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주식의 배당은 배당기준일에 단 하루만 보유해도 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현재가 대비 5% 의 배당을 해주는 기업이 있다고 하면, 주가가 10,000원일때 500원을 배당해 주는것입니다.
그리고 시장에서 보는 해당 주가의 적정가는 10,000이라고 할때.
보통 배당기준일이 되는 마지막날에는 매수가 많이 몰립니다.
하루만 들고 있어도 5%의 배당을 주기 때문에 오늘 사서 내일 팔아도 5% 확정 수익이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적정 주가가 10,000원 하던 주식들도 10,500원 가까이에서 거래가 되었다가 다음날 다시 적정 주가라고 판단되는 10,000원으로 돌아가는것입니다.
그렇게 적정주가로 돌아가는것을 배당락이라고 합니다.
배당락은 보통 우리나라 대부분 종목들처럼 1년에 한번씩 배당을 하는 기업들에서 조금 더 심하게 나타납니다.
예를들어 1년에 4번 배당을 하는 삼성전자는 1년 배당율이 보통 2~3% 수준인데 이걸 4번으로 나누게 되면 한분기당 0.5% 정도 됩니다.
그럼 배당기준일에 현재주가(적정주가)에서 배당으로 인한 뻥튀기가 0.5% 수준밖에 안되기에 다음날에도 배당락이 크게 나타나지는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전문가입니다.
간단하게 배당을 목적으로 투자한 주식의 경우에는 배당후 매도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배당을 3%받고 주가가 2% 빠진다고 하더라도 이득이라고 판단하기에 이에 대하여 배당락이 발생하는 것이며, 이러한 배당락은 배당보다 클때도 낮을 때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전문가입니다.
배당락은 주식의 배당을 받을 권리가 사라지는 날을 말합니다. 배당락일에는 이미 배당금이 주가에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주가가 배당금만큼 하락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즉, 배당금은 이미 주주들에게 돌아갔고, 이에 따라 주식 가치가 낮아지는 것입니다. 배당락은 회사가 주주에게 이익을 나눠주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회사가 자신의 살을 깎아 배당을 주는 것은 아닙니다. 배당은 회사의 이익 중 일부를 주주들에게 분배하는 것이므로, 회사의 가치가 감소하는 것은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배당 기준일 하루 전날인 배당락일에는 주식을 사도 배당을 받을수가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배당을 받을 수 있었떤 이전보다 주가가 하락하는게 일반적입니다.
참고가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배당락은 주식의 배당금이 지급된 후 주가가 떨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쉽게 설명하자면 기업이 주주에게 배당금을 지급하면 그만큼 회사의 자산이 줄어들기 때문에 주가도 그만큼 낮아지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만약 회사가 주당 1,000원의 배당금을 준다고 하면 주가도 그만큼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배당금이 지급된 후 주가가 1,000원 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배당금 지급일 이전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배당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많은 투자자들이 배당금을 받기 위해 주식을 사지만 배당금이 지급된 후 주가가 떨어지므로 배당락 현상이 발생합니다.
배당락(ex-dividend)은 배당기준일이 지나 배당금을 받을 수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배당기준일 다음날 주가는 전날보다 하락하게 되는데, 이는 배당금만큼 시가총액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A 회사가 1주당 100원의 배당을 결정했다고 가정하면 배당 기준일에 A 회사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투자자는 배당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배당 기준일 다음날에는 배당금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주식을 매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수요가 감소하여 주가가 하락하게 됩니다. 또한 주식회사가 배당금을 지급하기로 결정하면 해당 배당금은 기업의 자산에서 차감되어야 합니다. 이로 인해 회사의 순자산 가치가 줄어들고 이는 주식 가격에 반영되어 주식 가격이 하락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배당락은 주식배당으로 주식 수가 늘어난 것을 감안해 회사의 시가총액을 유지하기 위해 주식 1주의 가격을 인위적으로 떨어뜨리는 것이며, 현금배당을 하는 기업의 경우 이 같은 인위적인 주식가격의 하락은 없지만 시장에서 거래되는 주식가격은 기업의 현금유출에 따라 다소 떨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