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

모기들은 왜 풀이 많은 곳에 많이 있나요?

모기들은 아스팔트로 포장된 길에서는

여름철이라도 쉽게 볼 수 없는데

풀이 조금만 있으면 거기에는 모기들이

엄청 많더라구요

모기가 풀에서 딱히 할 수 있는 것이 없는 것 같은데 풀 같은 곳에서 많이 있는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네, 말씀해주신 것처럼 모기들은 아스팔트 길이나 건조한 곳에서는 거의 안 보이는데, 풀이 무성한 곳에서는 훨씬 많이 발견되는데요, 우선 모기는 체표가 약하고 쉽게 건조해지기 때문에 습한 환경이 꼭 필요합니다. 풀이 많은 곳은 토양과 공기 중의 습도가 아스팔트보다 훨씬 높아 모기가 살기 좋은 미세환경을 제공하며, 풀잎 표면의 이슬이나 수분도 모기가 체내 수분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게다가 모기는 알을 물속(웅덩이, 고인 물, 풀숲의 작은 빗물 고임)에 낳는데요, 풀 많은 지역은 빗물 웅덩이나 작은 물웅덩이가 생기기 쉬워 알을 낳기 유리하며 따라서 풀 많은 곳에 모기가 많다는 건 곧 주변에 산란지가 있다는 신호이기도 합니다. 또한 모기는 활동성이 높지 않은 곤충이라, 쉬는 장소가 필요한데요 풀숲은 햇빛을 피하고 바람을 막아주는 그늘과 은신처를 제공할 수 있지만, 반면 아스팔트나 시멘트 바닥은 은신할 곳이 거의 없기 때문에 모기가 머물기 어렵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풀숲은 그늘과 습기가 유지돼 모기가 쉬고 수분을 보충하기 좋은 서식지랍니다.

    또한 번식지인 물 웅덩이와 가까운 경우가 많아 모기가 모여 들기 쉽죠

    알고 물에 ... ㅎ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모기는 풀숲이 습도유지와 은신처 제공에 유리하기때문에 체온, 수분손실을 막고 천적으로부터 숨을 수 있습니다.

    또한 풀 주변에는 작은 웅덩이, 그늘 동물서식처가 많아 산란지와 흡혈기회가 집중되기때문에 밀도가 높게 나타납니다.

  •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모기의 생태적 특성 때문입니다.

    모기는 생존과 번식에 필요한 환경을 찾아 서식하며, 풀밭은 이러한 조건을 모두 갖추고 있습니다.

    모기는 건조한 환경에 약하기 때문에 체내 수분 유지를 위해 습도가 높고 그늘진 곳을 선호합니다. 무성한 풀과 잡초는 지면의 습기를 그대로 가지고 있고 강한 햇볕을 가려주어 모기에게 최적의 서식지가 됩니다.

    또한 암컷 모기는 산란을 위해 고인 물이 필수적입니다. 풀밭에는 비가 온 뒤에 생기는 작은 물웅덩이나 버려진 용기, 화분 등 물이 고일 수 있는 장소가 많아 모기가 알을 낳기에 매우 좋은 환경이 됩니다.

    게다가 풀숲은 새나 잠자리, 개구리 등 모기의 천적을 피할 수 있는 좋은 은신처 역할을 합니다. 모기는 풀잎 사이로 숨어 포식자를 피하고, 휴식을 취하거나 먹이를 찾을 수 있는 것이죠.

    반면 아스팔트 포장도로는 고온에 건조할 뿐만 아니라 은신처도 없어 서식에 매우 불리한 환경이죠.

  • 안녕하세요.

    풀이 있는 곳은 모기가 서식하기에 좋은 환경을 제공해주기 떄문입니다.

    풀숲은 그늘과 습기를 제공하는 반면 아스팔트는 건조하고 햇빛이 강하기 때문에 금방 죽을 수 있습니다.

    풀숲 근처는 종종 물이 고이기 때문에 모기가 알을 낳기에 좋습니다.

    풀숲 말고도 물웅덩이, 배수구, 논, 개울 등에는 모기의 서식지로 좋습니다.

    추가로, 풀숲은 동물이 쉬거나 이동하는 통로이기에 먹이를 찾는데도 적합합니다.

    그래서, 번식하기 쉽습니다.

    감사합니다.

  • 모기는 흡혈 활동 전후에 휴식을 취하고, 낮 동안의 더위나 천적을 피하기 위한 은신처로 풀숲을 이용합니다. 풀이 많은 곳은 습도가 높고 그늘이 져서 모기가 생존하고 활동하기에 유리한 미세 환경을 제공하며, 일부 모기 종류는 풀숲의 고인 물에 알을 낳기도 합니다. 따라서 아스팔트와 달리 서식 및 휴식 공간을 제공하는 풀 주변에 모기가 많이 모여있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