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5일제도 못하는회사가 많은데4.5일제는
대기업만을 위한정책인가요?중소기업은 제조시간감소로 대기업처럼 로테이션근무에 대한 방안을 마련하기가 어려운데 과연 4.5일제근무가 전체적으로 장점이 더 많은가요?
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주 4.5일제는 대규모로 인력을 운영할 수 있는 대기업에서는 생산성 감소를 줄이면서 근로자의 만족을 높일 수 있으나, 중소기업에서는 시행이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모든 기업에게 동일하게 장점이 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창국 노무사입니다.
1주 4일 근로 + 5일 근로 + 6일 근로 등 몇일제로 운영할지는 회사 경영 사정과 근로자들의 함의에 따라 결정될 문제이고
회사 업무 성격에 따라 근로일수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업무를 압축적, 집중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몸을 쓰는 일이 아닌 회사라면 주 4일제를 도입해도 되지만
제조업이나 건설업 등의 경우에는 근로시간 및 노동력 투입시간이 중요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주 4일제를 운영하기 쉽지 않습니다.
더군다나 근로시간은 줄이면서 임금을 종전과 동일수준으로 유지하라고 하면 회사는 이윤을 추구하는 집단인데 과연 근로자수를 계속 유지할 여력이 되는지 의문이 듭니다.(대규모 인력 감원이 예상 됨)
위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것이 명확한데 과연 임금 감소 없는 주 4일제 또는 주 4.5일제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한지 판단이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승철 노무사입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회사마다 업종, 재정 상황 등에 따라 다르고 근로자도 추구하는 가치가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좋다고 보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4.5일 근무제를 도입하고 있는 회사는 더러 존재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는 사업 및 직무의 특성에 따라 그 효과가 다르므로 일률적으로 답변드리기 어렵습니다. 일반적으로 근무일수가 단축되면 여가시간이 확보되어 근로자의 삶의 질이 향상되나, 업무의 압박감이 높아져 오히려 생산성 향상에 저해가 올 수도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