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요리조리마수리346
요리조리마수리34623.07.11

인도와 우리나라 사이에서 가장 활발하게 교역이 이루어지는 품목은 무엇인가요?

중국에 이어서 전세계적으로 미래의 경제대국으로 예상되는 국가가 있습니다. 바로 인도인데요. 이러한 인도와 우리나라 사이에서 가장 활발하게 교역이 이루어지고 있는 품목들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2023년 5월 기준으로 우리나라와 인도 간 수출입(교역)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 수출

    - 우리나라 수출 실적 기준 인도 수출은 7위에 해당하며, 주요 수출품목은 철강판 및 합성수지 입니다.

    ■ 수입

    - 우리나라 수입 실적 기준 인도 수입은 25위에 해당하며, 주요 수입품목은 석유제품 및 알루미늄 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한국무역협회 K-STAT 사이트를 통해 확인해보니 다음과 같습니다. (23년 5월 누계, HS CODE 4단위, 달러 기준)

    1. 수출 (우리나라 > 인도)

    • 전자집적회로 (HS 8542)

    • 부분품과 부속품(제8701호부터 제8705호까지의 차량용으로 한정한다) (HS 8708)

    • 석유와 역청유(瀝靑油)(원유는 제외한다), 따로 분류되지 않은 조제품[석유나 역청유(瀝靑油)의 함유량이 전 중량의 100분의 70 이상인 것으로서 조제품의 기초 성분이 석유나 역청유(瀝靑油)인 것으로 한정한다], 웨이스트 오일(waste oil) (HS 2710)

    2. 수입 (인도 > 우리나라)

    • 석유와 역청유(瀝靑油)(원유는 제외한다), 따로 분류되지 않은 조제품[석유나 역청유(瀝靑油)의 함유량이 전 중량의 100분의 70 이상인 것으로서 조제품의 기초 성분이 석유나 역청유(瀝靑油)인 것으로 한정한다], 웨이스트 오일(waste oil) (HS 2710)

    • 알루미늄의 괴(塊) (HS 7601)

    • 합금철(ferro-alloy) (HS 7202)

    관련사이트 링크드리니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국내통계 > 국가 수출입 > 품목별)

    https://stat.kita.net/stat/kts/ctr/CtrItemImpExpList.screen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인도는 우리나라와의 교역액이 적지않은 국가인데, 우리나라와의 국가수출입 순위는 7~8위정도에 위치하고 있는 중요한 국가입니다.

    2022년 기준 우리나라에서 인도로 가장 많이 수출되는 품목은 반도체였습니다. 또한 특이품목으로 시추대나 작업대(물에 뜨거나 잠길 수 있는 것으로 한정한다)에 대한 수출도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그 외에는 석유화학제품에 대한 수출액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우리나라가 인도에서 수입하는 경우에는 석유화학제품, 알루미늄, 밀 등의 수입액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2022년을 기준으로 하여 우리나라에서 인도로 수출된 상의 품목은

    1. 전자집적회로

    2. 차량용 부분품

    3. 석유와 역청유 조제품 입니다.

    이와 대비하여 우리나라에서 인도로부터 수입한 상위 품목은

    1. 석유와 역청유 조제품

    2.알루미늄의 괴

    3, 합금철의 순서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관세청 및 무역협회에서 무료로 볼 수 있는 기본적인 무역통계가 있으며, 특히 관세청 무역통계에서는 품목별 국가별 수출실적에서 어느정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다만, HS CODE 2단위에 해당하는 수출입금액 정도로 확인되기 때문에 전문적으로 확인하려면 한국통계무역진흥원(TRASS)에 별도로 금액을 지불하여 맞춤형 통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도와 가장 교역량이 많은 품목과 관련하여 2023년 기준으로 다음과 같으며 전반적으로는 우리나라가 무역수지 흑자대상국으로 하기의 품목 모두 흑자 대상품이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85류(전자기기)

    2. 39류(플라스틱 제품)

    3. 72류(철강)

    4. 84류(기계류)

    5. 87류(자동차)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상담 지식답변자 전경훈 관세사 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리겠습니다.

    1. 수출

    수출의 경우 IC. 석유화학제품, 철강, 축전지, 아연 순으로 수출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2. 수입

    수입의 경우 경질유, 알루미늄, 철강제품, 소금, 납 순으로 수입이 되고 있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추가 문의사항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제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23년 기준으로 인도에서 한국으로 가장 수출이 많은 물품은 광물성연료(석유, 천연가스 등, 27류) 입니다. 그리고 유기화학품, 알루미늄 제품들이 그 뒤를 잇고 있습니다.

    그리고 한국에서 인도로 수출하는 품목은 85류의 전자기기, 72류의 철강, 39류의 플라스틱 제품 등이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인도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국가이며, 빠르게 성장하는 경제를 가지고 있고, 미래의 경제대국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한국과 인도는 1970년 이후로 양국 관계가 지속적으로 발전해 오고 있으며, 수출 및 수입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2023년 5월 기준 아래와 같이 철강 및 플라스틱이 수출상위품목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반면, 수입은 광물성 연료 및 화학물품 등이 상위항목으로 조회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인도로 주요 수출하는 품목입니다.

    1. 시스템반도체(8542.31)
    2. 석유조제품(2710.19)
    3. 두께가 3밀리미터 이상 4.75밀리미터 미만인 철이나 비합금강의 평판압연제품(7298.38)
    4. 리튬이온 축전지(8507.60)
    5. 합금하지 않은 아연(7901.11)

    인도로부터 수입하는 주요품목입니다.

    1. 경질유 조제품(2710.12)
    2. 합금하지 않은 알루미늄(7601.10)
    3. 탄소의 함유량이 전 중량의 100분의 4를 초과하는 합금철(7202.41)
    4. 소금(2501.00)
    5. 정제한 납(7801.10)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