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브로콜Li
브로콜Li23.09.02

'화폐환상'이라는 용어를 알려주세요.

'화폐환상(money illusion)'이라는 용어가 어떤 현상을 나타내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또 실례가 있다면 소개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화폐환상이란 경제주체들이 임금과 주택매매 등의 경제 활동에서 물가변동을 고려한 후의 실질가치가 아닌 화폐의 명목가치를 중심으로 생각하고 판단하는 성향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물가 상승률이 0%인데 임금을 7% 삭감하는 것은 불공정하다고 보았지만, 물가 상승률이 12%일 때 임금을 5% 인상하는 것은 수용할만하다고 답한 사람이 많았습니다. 물가를 고려한 실질 임금은 두 경우 모두 7% 삭감인데도 말입이다.


  • 안녕하세요. 이충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를 고려한 실질임금은 오르지 않았는데 물가를 고려하디않은 명목임금이 올랐다고 아 월급올랐구나! 하고 있으면 화폐환상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화폐환상이라고 하는 것은 임금이나 소득의 실질적인 가치 변화가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명목적인 임금 단위가 상승하게 되면 노동자들은 이를 실제로 급여가 올랐다고 믿게 되는 것을 말해요. 쉽게 생각하면 아이스크림 가격이 100원에서 110원이 되고 임금이 300만원에서 330만원이 되었다면 실제로 급여 가치는 동일하게 10%가 상승해서 오른게 없는데도 단순하게 급여가 10%가 상승했기 때문에 이 급여가 상승했다고 믿게 되는 걸 말하는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정민교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화폐환상

    소득의 변화가 없는데도 명목단위가 오르면 소득이 올랐다고 인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월급이 3% 오르고 물가도 3% 올랐다면 실질 소득의 증가는 0%입니다

    하지만 근로자는 자신의 월급이 3% 올랐으면 소득이 증가하였다고 인식하는 것이 이에 해당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황성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임금 등의 실질가치는 그대로인데, 명목금액이 오른걸 착각하는 것을 화폐환상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화폐환상(money illusion)은 경제주체들이 물가 변화에 따른 실질가치의 증감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물가와 명목임금이 똑같이 각 2%씩 올랐을 때, 실질임금에는 사실 변화가 없는데도 노동자가 임금이 상승했다고 여기는 경우가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화폐환상이란 임금이나 소득의 실질가치는 변화가 없는데도 명목단위가 오르면 임금이나 소득이 올랐다고 받아들이는 것을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