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세무
gross-up제도가 어떤 개념인지 궁금합니다.
현재 조세체계에서 법인이 돈을 벌고 활동을 했으니 법인세를 내는데, 이렇게 이 돈에 대해 한번 세금이 나갔는데, 다시 주주들이 배당을 받을 때 소득세를 내게되니까 이중과세가 있어서,
gross-up이라는 제도로 배당세를 공제해주는게 맞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광교세무법인 삼성지점 이용연 세무사 입니다.
주주가 법인으로부터 수령하는 배당금은 법인이 배당금을 지급하기 이전에 이미 법인세가
과세된 소득을 재원으로 배당을 했을 것입니다.
이 경우 법인세 및 법인 지방소득세를 신고납부하기 전의 법인의 각 사업업도 소득금액으로
되돌려서 법인의 배당금을 산출하는 것을 이중과세 조정(Gross-Up, 배당가산액)를 하게
되는 데 이 경우 적용되는 율은 11% 입니다.
배당소득에 대하여 Gross-up이 되는 경우 소득세 확정신고시 일반 산출세액에서 비교산출
세액을 차감한 금액을 한도로 배당세액공제를 적용하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된 경우 "좋아요 + 추천"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자성세무회계 김성은 세무사입니다.
정확하게 이해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gross-up은 이중과세를 조정해주기 위한 것입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