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돌쯤 되면 숟가락질을 혼자 하나요??
다음달이면 두돌 되는데요.
두돌 쯤 되면
아기 혼자 숟가락질을 하나요?
혹시나 한다면 혼자 하게 놔둬야 하나요??
많이 흘리게 되는데 혼자 하게 나두는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두 돌쯤 되면 많은 아기들이 숟가락을 잡고 혼자서 먹기를 시도합니다. 그러나 이 시기는 개인차가 크기 때문에 어떤 아기는 잘 할 수 있고, 어떤 아기는 조금 더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혼자 숟가락질을 하게 놔두는 것은 좋은 경험이 됩니다. 아기가 스스로 먹는 연습을 통해 손의 근육을 발달시키고, 자율성과 자신감을 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흘리는 것은 자연스러운 과정이니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일단 아기가 스스로 먹을 수 있도록 바닥에 방석을 두거나, 흘린 음식이 쉽게 청소될 수 있는 공간에서 먹게 해 주세요. 그리고 아기가 숟가락질을 하려고 할 때 옆에서 지켜보며 격려해 주세요. 실패하더라도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면 좋습니다.
아기가 혼자 숟가락질을 시도할 때 잠시 혼자 하게 두되, 필요할 때는 도와주세요. 예를 들어, 숟가락을 잡는 방법을 보여주거나, 음식을 조금 덜어 주는 방식으로 지원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어렵더라도 자주 시도하게 해주면 점점 더 능숙해질 것입니다.
보통 아기가 스스로 먹는 과정은 시간이 걸릴 수 있지만, 중요한 발달 경험이니 응원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 )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기가 두 돌이 지났을 경우 소근육의 힘이 조금씩 생기기 시작 합니다.
이 시기에 아기에게 직접 숟가락을 쥐어주고 혼자 먹게 한다면 소근육의 힘은 더 왕성하게 발달 되어지고, 조금씩 숟가락 질에 익숙해져 갑니다.
처음에는 숟가락질이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흘리는 것이 반 일 것입니다.
하지만 반복된 연습을 통해 숟가락질을 한다면 조금씩 숟가락질을 나아지게 될 것이오니 흘리더라도 아이의 소근육의 힘을 길러주기 위해서라도 직접 숟가락을 들고 식사를 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마다 타고난 재능이 다르다 보니 제법 잘하는 아이가 있는 반면 잘 못한다고
먹여 달라는 아이도 있어요
처음부터 엄청 잘하는 아이는 별로 없습니다 많이 흘리면서 배우죠
흘리는 것이 싫어 먹여 주는 엄마 아빠가 있는데 아이들에게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먹여 주는 것 만큼 숟가락 젓가락을 잘 사용 할 수 있는 시기가 늦어 집니다
아이가 혼자 할수 있도록 옆에서 칭찬을 많이 해주고 자신감을 얻을 수 있게
해주는 것이 아이의 성장을 위해서는 더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부모님이 어떻게 교육을 하냐에 따라서 숟가락질을 하는 시기가 다르다고 합니다. 아이들의 경우에는 조금 어린 시절부터 자기주도식을 할 수 있도록 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이 경우에는 음식의 70프로 정도는 흘릴 수 도 있고 거의 먹지 못할 수도 잇겠습니다만 이것을 연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지나가야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부모님께서 끈기를 가지고 옆에서 응원을 하면서 지켜봐주셔야 되겠습니다 아이를 위해서는 너무 많은것을 해주면 안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두돌쯤 되었다면 스스로 먹는 연습을 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처음부터 잘할 수 없으니 흘리기도 하고 쏟기도 하겠지만, 그렇게 연습하며 잘하게 되는 거라 생각 하시고 아이에게 격려와 칭찬 많이 해주신다면 스스로 먹는 것에 대한 즐거움도 생기고, 성취감에 자존감도 향상되는 효과도 생깁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두 돌 즈음의 아기들은 대부분 숟가락질에 관심을 보이며 혼자 먹으려고 시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시기에는 손 조작 능력이 많이 발달해 숟가락질을 할 수 있지만, 아직 미숙하기 때문에 음식을 흘리거나 제대로 떠먹지 못하는 경우가 흔합니다.
아기가 혼자 숟가락질을 하려는 모습을 보일 때는, 가능하면 혼자 하도록 격려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혼자 먹는 것이 중요한 발달 과정이므로, 약간의 실수나 흘리는 것을 크게 걱정하지 않고 자율성을 키울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물론 처음에는 많이 흘릴 수 있지만, 점차 능숙해지면서 숟가락을 잘 다룰 수 있게 됩니다.
아기가 식사 시간에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긍정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필요할 때 살짝 도와주는 것이 좋습니다. 실수를 하더라도 격려해주고, 식사 후에 함께 정리하는 습관을 가르쳐주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두돌 쯤 되는 아이들은 보통 숟가락질을 혼자 할 수 있게 됩니다. 다만 아직 손의 미세 조정 능력이 완벽하지 않아서 많이 흘릴 수 있씁니다. 혼자 숟가락질을 하게 놔두는 것은 아이의 자립심과 손 조정 능력 발달에 큰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스스로 식사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혼자 놔두는 것도 중요합니다.
많이 흘리더라도 인내심을 가지고 지켜봐 주세요
이를 통해서 손가락 훈련과 독립성을 키울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숟가락 사용능력은 여러 요소에 영향을 받습니다. 유아의 발달속도, 부모의 격려와 지도, 식사 환경등이 영향을 미치는데 개인차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두돌쯤 되면 아기들은 숟가락질을 시도하기 시작하지만 개인차가 큽니다. 이시기에 아이들은 자기주도적으로 먹는 것에 관심을 가지며 손으로 음식 먹는데 익숙해지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