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은 요도가 길어서 비뇨기계감염이 잘 안된다고 할때
질문. 남성은 요도가 길어서 성관계가 아니고는 비뇨기계 감염이 잘 안된다고 하는데 그 비뇨기는 요도, 전립샘, 방광 모두를 의미하나요? 전부다 성관계가 아니면 잘 안걸리나요? 요도염은 바로 앞이라 잘 걸릴거 같기도하고.
남성의 비뇨기계는 요도, 전립샘, 방광을 포함하며, 신장과 요관도 비뇨계의 일부로 간주됩니다. 남성이 여성보다 비뇨기계 감염에 덜 걸리는 주된 이유는 요도가 상대적으로 길어서 외부에서 세균이 상부 비뇨계까지 도달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는 남성이 비뇨기계 감염에 걸리지 않는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특히, 요도염은 성관계를 통해 전염되는 성병균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비성병적 요인으로 인한 요도염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개인위생이 부족하거나 카테터 사용과 같은 의료적 절차로 인해 비뇨기 감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비뇨기계 감염이라고 하면 방광염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보셔도 됩니다. 일반적으로 항문에서 요도를 타고 방광까지 감염이 되는 것이 방광염인데 남성에서는 어렵지요.
요로감염은 요로-방광-신장으로 올라사는 상행성 감염을 포함합니다.
말씀하신 이유로 남성의 경우 요로감염 자체가 잘 일어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실재로 남성들은 요도염이나 방광염에 걸릴경우는 아주 드물고 전립선염은 구조상 흔하게 오게됩니다
긴 요도를 타고 들어가서 감염이 되는 요도염, 전립선염, 방광염 모두 여성보다 유병율이 많이 떨어집니다.
요도염은 들어가자마자 감염을 일으키지 않을까 생각하실 수 있는데 실제로는 요도염도 남성에도 드뭅니다.
비뇨기는 신장, 요관, 방광, 요도 등 소변 생성 및 배출에 관여하는 기관들을 총칭합니다. 남성은 요도가 길기 때문에 여성에 비해 방광염 등의 비뇨기 감염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그러나 요도염은 성관계 외에도 발생할 수 있는데, 카테터 삽입, 불결한 위생 상태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요도구에 가까운 부위일수록 감염의 기회가 많은 편입니다.
반면 방광, 전립선, 신장 등의 감염은 주로 요로 감염이 상행성으로 진행하거나, 전신 감염의 일부로 발생하게 됩니다. 결석, 전립선 비대증 등 요로 폐색을 일으키는 질환이 동반된 경우 감염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 매개 감염은 요도염 외에도 전립선염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요로 감염이 의심된다면 비뇨의학과 진료를 통해 적절한 검사와 치료를 받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말씀하신대로 남성은 요도가 길어서 요도염, 방광염, 신우신염과 같은 비뇨기계 감염증의 위험이 여성보다 낮습니다. 요도가 길다는 것은 방광부터 소변이 나오는 요도 끝까지의 길이를 의미하고, 이 부분의 길이가 중요하게 작용하는 이유는 외부의 세균이 침투하는 길이 되기 때문입니다. 여성은 요도가 짧아서 방광으로 세균이 금방 침투할 수 있는 반면 남성은 요도에 세균이 증식하기 시작해도 방광에 닿기 전에 소변을 보아서 씻겨내려가버리므로 감염증이 발생하기가 어렵습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