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부동산의 미래가어떻게될까요?
우리나라의 부동산의 미래가어떻게될까요?
인건비 자재비가올라서
분양비는올라가고있는데
집값이 너무올라서 집을가지기도힘들고
인구는줄어들고...시골엔 빈집이많고..
집값이 어떻게될까요?
인건비 분양가 상승은 현 시장상황에 따른 부분이기 때문에 경제 전반이 특히 물가가 안정화되면 다시 안정화될 가능성이 높기에 장기적인 측면에서는 악재로 보기는 어려울듯 보입니다. 다만 추세적인 인구감소는 지금보다는 향후 10년 그 이후에 더욱 시장에 수요감소로 반영이 되기 때문에 개인적판단으로는 이전처럼 주택가격이 급상승하는 것은 어려울 것으로 보이고, 이는 주택에 대한 개념이 주거와 투자대상에서 주거목적으로써 본래적 가치를 우선시하는 인식이 확장되어 더이상 주택에 대한 투자가 줄어들고 그에 따라 주택가격도 일부를 지역내 매물을 제외하면 안정화 되지 않을까 생각되어 집니다. 물론 이러한 과정에서 급격한 파동을 주기보다는 서서히 안정화되는 연착률 형태로 나타날것으로 예상합니다.
서울 수도권 및 지방 대도시의 경우 아파트 값은 계속해서 오를 것으로 생각합니다. 언제나 그렇듯 인구가 감소하지만 가구수의 변동이라든지 주거의 쾌적성을 보면 충분히 올라갈 듯하지만 지방 소도시의 경우 올라가는데에는 한계가 분명히 존재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구자왕 입니다.
정답은 없고, 주관적인 생각이지만
인구가 줄면서 가구는 더 많아지고
수도권 중심의 일자리가 유지되어
지방 시골의 붕괴는 더 빨리질거고
수도권 소형 아파트 위주로는 꾸준히 우상향 할 거 같습니다.
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그걸 확실히 안다면 다들 집을 사거나 팔거나 하겠지요.
미래는 알수가 없으니 실거주 목적으로는 지금 내가 필요하고 살 수 있다면 사는게 좋다고 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부동산 시장은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정확한 예측이 어렵습니다. 그러나 현재의 상황을 고려할 때, 인건비와 자재비 상승으로 분양비가 상승하고 집값이 높아지는 경향은 계속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인구 감소와 빈집 증가로 인해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이 더욱 심화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공인중개사 입니다.
이민자를 받거나 출산율을 올려야 합니다만 출산율은 쉽지않습니다. 다국적문화로 가는게 아니라면 정말 위험합니다.
우리나라의 부동산의 미래가어떻게될까요?
인건비 자재비가올라서
분양비는올라가고있는데
집값이 너무올라서 집을가지기도힘들고
인구는줄어들고...시골엔 빈집이많고..
집값이 어떻게될까요?
==> 우선적으로 부동산 양극화 현상이 심할 것으로 보입니다. 농촌 지역은 소멸 또는 매우 저렴할 것이지만 인구가 모이는 지역은 부동산이 폭등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 이유는 건축자재가격이 급등하였고 또한 부동산 경기 악화로 공급물량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결국에는 돈이 부족한분들은 지방으로 내려가서 집을 사거나 전월세를 살아야 할수도 있습니다
학교나 직장 때문이 아니라면 굳이 서울에 있을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지금도 젊은세대들이 수도권으로 많이 내려갔습니다
시간이 가면서 오르는곳은 더오르고 인구가 부족하면 내릴수도 있겠지만 정부정책으로 대책을 마련한다고 봅니다
우리나라는 현재 고금리, 정부의 규제, 대출규제로 부동산 침체기 입니다.
설상가상으로 인구를 줄고 있고, 수도권 쏠림 현상은 가속화 되고 있습니다.
수도권은 공급부족으로 부동산 가격이 서서히 상승을 시작할려고 하고 있고,
금리또한 인하 소식이 들리고 있습니다.
앞으로 수도권을 중심으로 서서히 부동산가격은 오르겠지만 지방의 인구 소멸로 지방은 따라가기가 힘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저출산대책또한 내어 놓아야 될 문제이고 무엇보다 수도권 쏠림 현상을 해소 해야 지방도 상생할 수 있습니다.
국토균형발전을 위해 정부기관, 대기업, 대학교등을 전국으로 분산해서 골고루 균형 있는 국토 발전이 부동산 안정으로 돌아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