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길러주기 위해서는 어떤것을 해줘야 하나요?

요즘 아이들은 생각하기를 싫어 한다고 주변에서 다들 이야기를 하는데요.

혹시나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길러주기 위해서 한다면 어떤것을 해줘야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스스로 생각하는 힘은

    아이가 직접 탐색을 하고 경험을 하면서 다양한 생각을 머릿속으로 그려보고, 끄집어 내어 보는 것을 말합니다.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길러주기 위해서는

    책읽기, 과학실험, 역할극, 종이접기, 다양한 보드게임, 퍼즐맞추기, 블럭놀이, 촉감(오감)놀이, 신체적표현, 악기연주

    등이 도움이 되어질 수 있겠습니다.

    더나아가 아이에게 다양한 질문을 통해 Why 라는 물음을 던져주어 아이가 다양한 생각을 그려내고 끄집어 내어 표현해 볼 수 있도록 도움을 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실수나 잘못을 혼내기 보다는 스스로 생각하고 고칠 수 있도록 시간을 주고 기다려 주세요.

    결과보다는 시도와 노력에 칭찬을 많이 해주시기 바랍니다.

    아이에게 질문과 함께 해결하는 노력을 통해서 스스로 생각할 수 있도록 유도해 주세요.

  • 안녕하세요. 임경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의 생각하는 힘을 길러주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분야의 책 읽기, 체험학습, 관찰, 블록놀이, 그림그리기, 만들기 등 활동을 하며 스스로 생각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부모님은 아이의 생각을 끌어낼 수 있는 이야기나 질문을 하는것이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기르려면 먼저 정답을 바로 알려주지 말고 질문을 던져 스스로 고민하게 해보세요. '왜 그럴까?', '다른 방법은 없을까?'하고 물으며 사고를 확장시켜 주세요. 독서나 토론을 통해 다양한 관점을 접하게 하는 것도 좋습니다. 또한 실수를 허용하고, 실패 속에서 배우게 하면 문제 해결력을 키울수 있습니다.

  • 아이의 사고력은 아이의 성장과 더불어 자라날 수 있습니다.

    아이가 독립적으로 생각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힘을 키우는 방법은

    질문을 던지고 기다려 줍니다.

    다양한 관점을 접할 수 있게 합니다.

    실수를 기회로 삼게 합니다.

    선택권을 주되 결과를 함께 정리하고 놀이를 통해 문제 해결력을 키울 수 있도록 돕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길러주기 위해서는 정답을 바로 알려주기보다는 아이가 스스로 질문하고 답을 찾을 수 있도록 격려하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상 속에서 아이가 궁금해하는 점에 대해 함께 이야기하며, "왜 그럴까?", "다른 방법은 없을까?"와 같은 열린 질문을 자주 던져보세요. 또한 아이가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비판하지 않고 경청하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책 읽기, 놀이, 관찰 활동 등을 제공하고 아이가 직접 계획을 세우고 실행해볼 기회를 주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실수나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도전할 수 있도록 격려하며 아이의 작은 시도와 성장을 칭찬해 주는 것이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키우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이에게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길러주려면, 정답을 바로 알려주기보다는 왜 그럴지, 어떻게 하면 좋을지 같은 질문을 던져서 아이가 스스로 고민해 보도록 하는 게 중요합니다. 처음에는 시간이 오래 걸리더라도 기다려주고, 아이의 생각을 존중하며 경청해 주세요. 또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독서, 관찰, 토론, 놀이 등을 통해 사고의 폭을 넓혀 주는 것도 좋습니다. 예를 들어서 책을 읽고 이 주인공이 왜 그런 선택을 했을지, 같은 질문을 하며 대화를 나누는 식으로요.

    무엇보다도 아이가 실수하더라도 비난하지 않고, 스스로 판단하고 배우는 과정을 격려해주는 환경이 중요합니다. 틀려도 괜찮다는 안전감 속에서 아이가 생각하는 힘을 키워나가도록 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