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환한다향제비266
환한다향제비266

공공주택이 지방에서는 왜 인기가 없나요

국민임대 등의 공공주택이 지방에서는 왜 인기가 없는지 궁금합니다

서울이나 수도권에서는 공공주택 들어가기가 상대적으로 훨씬 어려운데 지방은 무엇이 다른지 궁금합니다

입지, 교육, 일자리 등의 문제들이 있다고 생각되지만 다른 요소들도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공공임대 및 공공주택이 지방에서 인기가 없는 이유는 공급과 수요 문제가 크고 공공임대 수요 자체가 젊은 사람들이 많은데 지방에는 일자리도 부족하고 젊은 사람들이 부모님 집에서 사는 경우가 많아 인기가 상대적으로 적어 보이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2022년 통계청 기준 주택 보급률은 전국 102.1%로 서울의 93.7%, 수도권의 96.6%, 경기 98.6%, 인천 97.9%, 대전 97.2% 를 제외하면 모두 100%를 넘겨서 숫자상으로는 부족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전체인구의 18%정도를 차지하는 서울 주택보급률이 93.7%인데 노후 불량 주택, 직장근처에서 살고자 하는 욕구, 신규 주택을 선호하는 취향 등을 감안하면 서울과 수도권에는 아직도 많은 아파트의 수요가 있음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아파트 건설에 상당한 시간이 걸리고 그동안 기존 주택이 노후되는 것을 감안해야 합니다. 반면 지방에는 충분한 주택에 인구도 줄고 있음(젊은이들의 수도권 이동 등)을 감안하면 오래된 주택 등에 공가가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지방에는 이미 주택이 충분히 보급이 되어 있다보니 상대적으로 인기가 없는 것 입니다. 물론 지방도 지역에 따라서 수요가 부족한 곳도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지방의 경우 부동산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또한 굳이 공공임대를 들어가지 않아도 민간임대나 민간아파트를 선호하는 경향도 강하고 무엇보다 공공임대주택이 외곽에 많이 자리잡고 있어서 인기가 없는 편입니다.

    또한 소득 및 자산기준에 부합되고 입지가 좋은 곳은 인기가 좋아서 들어가기 힘듭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은 인구가 많은 관계로 집값이 비싸서 공공주택에 서로 입주하려고 합니다

    경쟁률이 치열합니다

    지방은 아무래도 인구감소와 찾는분이 덜해서 인기가 덜하다고 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지방은 비교적 집값이 낮고 임대료도 낮다보니 임대주택에 대한 좋지않은 인식들로 인해 회피심리가 큰것으로 판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