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

독수리는 어느정도 무게까지 잡아서 날아갈 수 있나요?

동물 다큐멘터리 같은 프로그램을 보면

독수리는 큰 사슴같은 것도 잡아서 날아가던데

독수리는 평균적으로 자신의 체중에 몇배정도의 무게까지 잡아서

날아갈 수 있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독수리의 체중과 비행력에 대해서 먼저 말씀드리자면 대형 독수리(예: 흰머리수리, 참수리, 검독수리)의 체중은 4~7kg 정도이며, 가장 무거운 독수리급 맹금류(예: 하르피수리)도 9kg 정도이고 날개 길이는 2~2.5m (넓은 날개로 양력을 얻지만, 무게 증가 시 비행 효율 급감)입니다. 독수리는 보통 자신 체중의 절반~동일한 무게까지는 짧은 거리에서 들어올릴 수 있으며 예를 들어보자면 체중 6kg 독수리는 약 3~6kg 정도 사냥감을 공중으로 운반 가능하며, 특이하게 강한 개체가 순간적으로 자기 체중의 1.5배(9kg 내외)를 들어올린 기록이 있으나, 장거리 비행은 불가하고, 10kg이 넘는 사냥감은 보통 현장에서 먹거나, 끌고 가다가 숨겨놓고 먹습니다. 따라서 다큐나 사진에서 독수리가 사슴이나 영양 같은 대형 포유류를 잡는 장면은 실제로 날아가는 게 아니라 땅에서 제압하는 경우가 많으며, 몽골의 황금독수리가 어린 사슴이나 여우를 잡지만, 대부분 현장에서 먹고 일부만 뜯어 나릅니다.

    1명 평가
  • 독수리는 일반적으로 자기 체중의 절반에서 최대 자기 체중과 비슷한 무게까지만 들고 날 수 있습니다. 평균적인 대형 독수리의 체중이 4에서 7킬로그램 정도이므로, 안정적으로 들고 비행할 수 있는 무게는 약 2에서 4킬로그램 내외입니다. 다큐멘터리 등에서 보이는 사슴과 같은 큰 먹이는 사냥에 성공하더라도 그 자리에서 해체하여 먹거나 아주 어린 새끼를 사냥하는 경우이며, 다 자란 개체를 통째로 잡고 날아오르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1명 평가
  • 독수리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다릅니다.

    하지만, 보통은 자신의 체중의 50~100%정도를 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평지에서 이륙할 때의 수치이며, 바람과 지형 등의 조건에 따라 더 무거운 것을 들 수도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흰머리수리는 체중이 약 4~6kg인데, 몸무게와 비슷한 4~5kg 정도의 먹이를 들고 나는 것이 관찰된 기록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앞서 말씀드린대로 지형이나 바람은 물론 먹이의 크기와 형태, 그리고 가장 중요한 독수리의 종에 따라서는 아프리카관머리독수리의 경우 1.6배 이상을 드는 경우도 있고, 흰꼬리수리는 자신의 체중의 1.5배에 달하는 물고기나 거위를 들고 날아오르는 경우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