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쿨한소146
쿨한소14623.05.27

세계에서 가장 큰 무역기업은 어느기업이며 성장가능성이 높은 국내 기업이 뭐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세계에서 가장 큰 무역기업은 어느기업이며 성장가능성이 높은 국내 기업이 뭐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철강무역의 거래 과정을 자세히 알고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관련하여 자료가 찾아지지는 않지만 우리나라 삼성전자를 비롯해 애플과 같은 글로벌 기업들은 모두 전세계로 물품을 수출하며 무역규모가 가장 큰 기업들일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삼성전자의 무역규모액이 크다는 것이 모두 한국에서의 수출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무역규모는 국가별로 산출되며, 삼성전자 미국공장에서 물품이 생산되어 수출되는 경우 이는 미국의 수출액이 되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2022년 의 글로벌 시총을 기준( 포브스 발표기준) 중 1위 는 아마존 입니다.

    아마존(Amazon): 2022년 매출은 5140억 달러이며 시가 총액은 2조 704달러이라고 합니다.

    성장 가능성이 높은 국내 기업은 따로 예로 들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정부 시책으로 지원하고 있고 전통적으로 우리나라의 수출 우위품목의 기업을 염두에 두시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철강무역의 거래 과정은 일반적인 물품의 무역과 동일하나 유의 하실 점은 미국에 수출시에는 쿼터제가 적용 된다는 점입니다.

    무역 거래 과정은 일반적으로 거래선발굴 및 신용 조사 - 계약 조건의 확인 ( 품질, 수량, 가격, 포장, 선적수단, 결제 수단, 클레임 발생시 해결 방법 합의) -결제 방식 합의 - 운송및 보험 계약 체결 - 수출 통관 - 선적 - 사후 관리 의 순서로 진행 됩니다.

    철강은 아래 내용을 참고하여 철강협회의 승인을 받으셔야 합니다.

    ----------------------------------------------------------------

    미국으로 수출되는 한국산 철강제품은 수출입공고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8-94호, 2018.5.8.)에 의거하여 2018년 5월부터 쿼터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해당 제품은 한국철강협회의 승인을 받아야만 한국에서의 수출 통관과 미국 내 수입 통관이 가능합니다.

    대미 수출쿼터제도는 한-미 양국 정부간 합의에 따라 ‘15∼‘17년간 평균 수출 물량의 70%로 제한됩니다. 아울러 총 쿼터 내 54개 품목별 쿼터량에 따라 수출 기업별 쿼터가 배정됩니다.

    이에 신규로 대미 수출을 위하여 공장을 증설하거나, 신규 수출계약을 진행하는 업체는 쿼터제도로 인하여 대미 수출상 애로가 있을 수 있는바, 반드시 사전에 한국철강협회로 대상품목의 쿼터 적용여부 및 수출 가능여부 등을 문의하시길 바랍니다.

    ---------------------------------------------------------------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해당 부분은 정확하게 말씀드리가 어려우며, 전세계 시가총액 1위로는 애플이 있습니다.

    비록 원유나 이러한 물품들의 무역액이 더 크다고 할지라도 애플의 성장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기 떄문에 이러한 부분에서 애플이 가장 무역량이 많은 기업이라고 말씀드리고싶습니다.

    그리고 성장가능성이 높은 기업은 현재로서는 AI 열풍으로 인하여 엔비디아가 가장 성장가능성이 높은 주식으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먼저 세계에서 가장 큰 무역기업을 선정함에 있어 순이익, 매출, 자본 등의 수치 중 어떤 것을 기준으로 할 것인지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매출기준으로 확인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2022년에 발표된 포브스 글로벌 무역 회사 매출 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2021년 매출액 기준)

    1. Walmart Inc. (미국) - 5,728억 달러

    2. Schwarz Group (독일) - 1,528억 달러

    3. Costco Wholesale Corporation (미국) - 1,510억 달러

    4. Walgreens Boots Alliance (미국) - 1,324억 달러

    5. Kroger Co. (미국) - 1,323억 달러

    6. CVS Health (미국) - 1,315억 달러

    7. The Home Depot (미국) - 1,312억 달러

    8. Amazon.com (미국) - 1,309억 달러

    9. Walgreens Boots Alliance (미국) - 1,272억 달러

    10. Target Corporation (미국) - 1,245억 달러


    그리고 한국에서는 2차전지, 바이오, 반도체가 유망산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차전지는 전기자동차,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수요가 증가하면서 세계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2차전지 소재, 양극재, 음극재, 전지셀, 전지팩 등 전주기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바이오는 고령화, 만성질환 증가 등으로 시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한국은 바이오의약품, 의료기기, 진단시약 등 다양한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반도체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부품으로 세계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반도체 설계, 제조, 장비 등 전 분야에서 투자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철강 무역은 국가 간 및 기업 간의 거래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단계를 포함합니다. 일반적인 철강 무역의 거래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수요 예측 및 주문

    철강 제품을 필요로 하는 구매자(일반적으로 건설업체, 자동차 제조업체 등)는 예상 수요를 기반으로 주문을 합니다. 이 주문은 일반적으로 대량 또는 대형 주문으로 이루어집니다.

    2. 제조 및 생산

    주문을 받은 철강 업체는 주문된 제품을 제조하고 생산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원자재를 수입하거나 자체적으로 생산하여 필요한 제품을 만듭니다.

    3. 운송 및 도착

    생산된 철강 제품은 운송 및 물류 과정을 거쳐 구매자에게 전달됩니다. 이 과정에는 해상 운송, 항구 작업, 창고 관리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수입국에 도착한 이후에는 수입통관절차를 거쳐 구매자에게 도착하고 거래는 완료됩니다. 이후에는 제품의 검수와 품질 보증 등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한국에서는 한국철강협회(https://www.kosa.or.kr/)에서 철강무역에 대한 내용을 관리하기도 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