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화목한다람쥐109
화목한다람쥐10923.09.18

아이가 소리를 너무 자주 질러요

안녕하세요

아이를 혼낼때 소리를 지르긴 했는데요

아이도 이제 소리를 지르네요

부모헌테서 배운 걸 까요..

소리를 안지르게 할 방법 없을 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의 의사표현 방법은 소리를 지르거나 울음으로 의사를 표현합니다.

    자기 뜻대로 되지 않을때 자주 소리를 지르는 건 자연스러운 언어 발달 과정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18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야단을 칠 때 소리를 지르니 당황스러웠겠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아이를 훈육할 때 고조된 감정과 큰 목소리로 말하기보다는 차분한 어조로 이야기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훈육할 때 아이의 잘못된 행동, 즉 관찰한 행동을 말해주고

    부모님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그러고 나서 앞으로 어떻게 해주면 좋겠는지를 부탁하며 마무리하면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먼저 부모님이 훈육을 하실 때 소리를 지르지 않으셔야 합니다. 아이는 소리 지르지 않길 바라며 부모는 소리 지르는 것을 못 참는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훈육의 목적은 혼을 내는 것이 아니라 잘못된 행동이 무엇인지 왜 잘못되었는지 가르치고 바른 행동을 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부모가 소리를 지르고 무섭게 하면 아이는 이유를 제대로 모른채 공포에 의해 그 행동을 하지 않게 됩니다. 이럴경우 부모에 대한 원망과 불만이 쌓이고 사춘기가 되면 자녀와의 대화가 단절될 수 있습니다. 훈육시 좀더 절제되고 차분한 목소리로 가르치는 모습을 보이시고 아이에게도 소리를 지르는것이 잘못된 행동임을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얼마나 어린지는 모르겠으나, 소리의 크기를 크고 작고를 왔다갔다하면서 소리를 컨트롤하는법을 배웁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소리를 지르면 아이를 혼내셔서

    이런 행동을 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

    필요해 보이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와 함꼐 서로 차분하게 이야기하는것을 연습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지금부터라도 이러한것을 서로 교정하고 바꾸어준다면 점차좋아질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소리를 지르는 것은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것임을

    알려주셔서 하지못하도록 교육 하시는 것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소리안지르게하는법

    1.부모도소리를지르지말기

    2.아이에게 소리지르는건나쁨을 알리기

    참고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우선 아이가 속상한 이유를 이해해주시고 아이의 입장에서 생각해 주세요. 부모님이 하고싶은 말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선 선 공감이 필요합니다.

    그 다음 아이에게 소리지르는 것이 다른 사람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음을 알려주세요.

    소리를 지르는 대신 할 수 있는 대안 행동을 가르쳐 주는 것도 좋습니다.

    그리고 이 모든 과정에서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부모가 하는 모습을 그대로 모방합니다. 일시적으로 부모가 소리를 지른것 뿐이지만 아이는 이미 모방학습이 된 상태일수 있어요.무조건 혼내거나 소리지르지마라고 강요하면 안되고 부모가 먼저 감정을 조절하며 소곤소곤하게 말을 해보세요. 아이의 감정을 읽어주며 신이났구나, 답답했구나, 짜증났구나..등으로 아이 감정을 수용해 주시고 공감해주는게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부모의 말과 행동을 따라하는 경향이 있답니다 .

    항상 아이들 앞에서는 모범된 행동을 보여 주셔야 아이에게 좋은 모델링이 될 것입니다

    혼을 낼 땐 화를 내면서 큰 소리로 하기 보다는 침착한 상태에서 차분하게 하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소리를 지르면서 감정표현을 하는 경우 명확한 훈육이

    필요합니다. 아이가 언어가 발달되지 않아 감정표현을 소리지르는 행동

    등으로 할 수 있는데 이때 부모의 개입이 필요합니다. 감정적이 아닌 이성적으로

    아이 눈높이 훈육을 통해 아이를 훈육하여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유미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손을 꼭 잡고 의자에 앉힌후 아이의 눈높이를 맞춰 눈을 보시면서 "소리지르는것은 안돼!" 라고 단호 하게 말씀해주세요..

    화를 가라앉히는 방법으론 심호흡을 크게하고 천천히 10을 세도록 해주세요.. 그리고 행동에 대해 조근조근 야단치시고 마무리는 안아주셔서 아이의 감정을 다스려 주도록 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소리를 지르는 이유는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서 소리를 지르는 것입니다.

    아직 언어로 자신의 감정을 말하는 것이 미숙하기 때문에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소리를 지르는 것일 수 있으며 부모님이 소리를 지르면서 훈육을 했다면 그것을 보고 모방할 수 있습니다.

    제일 먼저 아이를 훈육할 때에는 소리를 지르지 않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아이가 소리를 지르면 단호하게 소리를 지르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시고, 왜 소리를 지르면 안되는지에 대해서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게 설명을 해주도록 하세요.

    아이의 행동이 개선될 때 까지 반복적으로 지도를 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소리를 지르는 것은 부정적인 감정을 나타내는 것이랍니다

    아이가 부정적인 감정이 들지 않게 사랑이 베어있는 합리적인 훈육을 해야 합니다.

    최대한 목소리는 낮추고 낮은 목소리로 일관된 훈육을 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