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기막히게주목받는트리케라톱스
기막히게주목받는트리케라톱스

개구리는 물 속에서만 살 수 있나요??

개구리는 물 속에서 조건만 갖춰진다면(먹이, 온도 등등)

물 밖 육지로 나오지 않고 잠수한 상태로 죽을 때 까지 물속에서만 살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불가능합니다.

    개구리가 물 밖으로 나와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호흡 때문입니다.

    개구리는 성체가 되면 폐로 호흡을 합니다. 사람처럼 물 밖으로 나와서 공기를 들이마셔야만 폐를 통해 산소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만약 물속에 계속 잠겨 있으면 폐로 호흡할 수 없어서 질식하게 됩니다.

    물론 개구리는 피부를 통해서도 호흡하지만, 이는 보조적인 수단일 뿐입니다. 피부 호흡만으로는 산소 공급이 충분하지 않으며, 피부 호흡은 피부가 촉촉해야 가능하기 때문에 개구리는 물가 근처에 있어야 하지만, 이것이 물속에서만 살 수 있다는 뜻은 아닙니다.

    따라서, 먹이와 온도가 충분하더라도 개구리는 성체가 된 후에는 물 밖으로 나와 폐로 호흡해야 하므로, 평생 물속에서만 살 수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개구리는 물 안에서만 살 수는 없습니다.

    올챙이의 경우, 폐로 호흡하지 않지만, 성체인 개구리의 경우 폐로 호흡하기 때문에 밖에서 있어야합니다. 피부 호흡도 가능해서 물 속에서도 호흡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반드시 폐 호흡으로 생존을 해야합니다.

    그래서, 물의 온도(수온) 등이 아무리 개구리한테 적절하다고 하더라도 물 속에서만은 생존할 수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대부분의 개구리는 평생을 물속에서만 살 수 없는데요, 유충 시기와는 달리 조건(먹이, 온도 등)이 완벽하더라도, 성체 개구리는 호흡과 생리적 특성 때문에 반드시 물 밖으로 나와야 하는 시기가 있습니다. 개구리의 경우에 올챙이 시기에는 아가미 호흡을 하기 때문에 물속에서만 생활이 가능하며, 대부분의 먹이도 수서성(조류, 부유물 등)입니다. 하지만 성체 시기에는 허파 호흡 + 피부 호흡을 병행하게 되며, 피부 호흡을 하더라도 산소 공급량이 충분치 않아 허파 호흡 필요하고, 허파 호흡을 하려면 반드시 물 밖으로 올라와 공기를 마셔야 합니다. 또한 물속의 용존산소량은 공기보다 훨씬 낮으며, 특히 따뜻한 물·정체된 물에서는 산소 부족이 빨리 발생하고 질식 위험이 있습니다. 게다가 개구리는 피부를 통해 물과 기체를 교환하지만, 피부가 항상 물속에 있으면 삼투압 조절 부담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건이 완벽해도 성체 개구리는 평생 완전 잠수 상태로 살 수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 개구리는 물속에서만 살 수는 없습니다. 올챙이 시기에는 아가미로 호흡하여 물속에서만 생활하지만, 성체가 되면 폐가 발달하여 폐호흡과 피부를 통한 호흡을 함께 사용합니다. 피부호흡만으로는 생존에 필요한 산소를 모두 공급받기 어려워, 폐로 숨을 쉬기 위해 반드시 주기적으로 물 밖으로 나와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