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부동산

검붉은메뚜기121
검붉은메뚜기121

근저당권이 없는 신축 빌라 안전할까요?

안녕하세요 독립을 준비하고 있는 사회 초년생입니다.

월세는 부담이 돼서 전세로 알아보고 있는데, 괜찮은 가격에 집이 있길래 등기부등본을 떼봤습니다.

근저당권은 모두 말소되어 하나도 잡혀있지 않은 상태구요.

그 후 매매가와 전세가를 비교하려 했는데 신축빌라라 그런지 매매가를 찾아볼 수 없더군요.

또 인터넷에서 검색해보니 신축 빌라는 갭투자의 가능성이 크다고 하구요.

하지만 등기부등본에는 근저당이 잡혀있지 않습니다.

그리고 소유주는 개인이 아닌 주식회사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이 회사를 검색해보니 어떤 회사인지 나오지도 않구요.

이런 경우엔 안전한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임대인이 법인이며 직원이 있는 경우 체불임금등이 있으면 최우선변제와 동순위가 될 수 있어 주의를 요합니다.

    따라서 국세와 지방세 완납증명서와 4대보험 납부 확인서를 요청해서 체납사실이 없는 것을 확인해 보셔야 합니다.

    법인인 경우는 임차인의 선호도가 떨어져 임대차가 원활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가급적 전세보다는 월세를 추천 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명의가 그 빌라를 건축한 건설사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근저당 외에 신탁이나 기타 다른권리가 있는지 확인하고 전세들어갈때 임대인이 바뀌는 조건이라면 무조건 피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질문의 경우만을 보고 안전한지 위험매물인지를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중요한건 시세와 전세보증금간의 전세가율이 가장중요한데 신축의 경우는 사실 시세확인이 쉽지 않기에 주변 빌라등의 평균시세를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또한 보증보험 가입에 대한 특약(가입불가시 계약해지등)을 넣으시고 계약을 진행하시는게 그나마 안전할수 있습니다 .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신축빌라는 가격이 높을수 있습니다

    요즘은 공시지가에 126%을 곱해서 나온 금액이 전세가이면 보증보험이 가능한데 신축은 아직 기준이 없어서 가격이 어떤 상태인지를 모르니 주변시세를 확인해보시고 선택을 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행정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그 후 매매가와 전세가를 비교하려 했는데 신축빌라라 그런지 매매가를 찾아볼 수 없더군요.

    또 인터넷에서 검색해보니 신축 빌라는 갭투자의 가능성이 크다고 하구요.

    하지만 등기부등본에는 근저당이 잡혀있지 않습니다.

    그리고 소유주는 개인이 아닌 주식회사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이 회사를 검색해보니 어떤 회사인지 나오지도 않구요.

    이런 경우엔 안전한걸까요?

    ==> 우선적으로 주변 빌라 시세를 검토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그 다음에 전세가격이 적절한지를 확인해서 최소한 70% 이내 에서 유지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