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길쭉한봉고184
길쭉한봉고18424.02.22

엄마만 찾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19개월 아기를 둔 아이 엄마입니다. 오새 아기가 엄마만 찾습니다. 아빠가 잘 놀아주는데 엄마만 찾는데 이시기가 원래그런건지 아니면 정서불안이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신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주양육자와 애착을 형성하는 시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아이마다 개인차이는 있겠으나 보통 생후6개월~생후24개월까지입니다.

    이 시기의 애착형성은 아이의 사회성발달 및 향후 성장발달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분리불안 또한 개인차가 있으나 보통 11~19개월 사이에 찾아온다고 합니다.

    아이가 엄마와 떨어져 있으면 불안해 할 수도 있으니 그런 상황을 줄여주는게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19개월아기의경우재접근기시기

    1.자연스러운현상임

    2.아빠의양육시간을 늘리고 아이케어에조금더신경쓰기

    3.주양육자부재가느껴지지않도록하며부양육자에게 신뢰주기

    참고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엄마만 찾는 이유는 아빠와 놀이 중 안 좋은 경험을 해서 아빠보다는 엄마를 더 찾을 수 있습니다.

    혹시 놀이를 하면서 아이에게 행동이나 언어가 조금은 과하지 않았는지를 먼저 생각해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시기는 재접근기 시기여서 아이가 다시금 엄마 껌딱지가 될가능성이 높으며

    아이가 시간이지나고 안정감을 찾으면 자연히 좋아질수있을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부모와의 신체적 접촉은 자녀에게 신경화학적 안정감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접촉은 아이의 불안을 완화하고 뇌를 평온한 상태로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아이가 엄마에게 매달리는 것은 단지 관심을 받기 위한 행동이 아니라, 불안감을 해소하고

    안정감을 찾으려 하는 본능적인 욕구의 표현입니다. 일정 시기가 지나면 자연스럽게 줄어들

    것입니다. 참고하세요.